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806700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저자

    변성진

  • 형태사항

    vii, 46 p. ; 26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 병원경영학과 2009. 8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9

초록 (Abstract)

  • 국문초록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과 변 성 진 지 도 교 수 임 복 희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와 선호도를 ...
  • 국문초록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과 변 성 진

    지 도 교 수 임 복 희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료광고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부산 지역 소재 병원, 종합병원 중 의료광고를 시행하고 있는 8개 병원과 6개 종합병원의 내원환자를 대상으로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외래환자와 입원환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의료광고에 대한 선호도 조사, 의료광고와 의료기관 선택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2009년 05월 05일부터 05월 19일까지 총 1930부를 배부하고 1341부를 회수하여 신뢰도가 떨어지는 185부를 제외한 1156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소비자의 관심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무직, 전문직, 서비스직, 판매직에서, 40대와 50대에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의료광고 매체에 대한 인지도에서는 대중매체(TV, 라디오, 신문)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층이 낮을수록 그리고 학력이 높을수록 대중매체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인터넷매체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200병상미만의 의료기관과 소아청소년과에서 인터넷매체에 대한 인지도가 다른 매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의료광고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대중매체 광고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상규모가 작고 외래진료에서 그리고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에서 인터넷 광고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병상규모가 크고 입원진료에서 그리고 내과와 외과에서 대중매체 특히 신문광고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광고전단은 가장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의료광고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40대와 50대가 의료광고를 접하고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의료기관 선택에 있어서는 대중매체 광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반면, 정기·부정기 간행물, 단행본, 광고전단 등의 대중매체 외 지면광고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의료소비자들의 인지도와 선호도가 대중매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제 의료기관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도 대중매체 광고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광고가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현행법에서의 일부 대중매체를 통한 의료기관 광고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의료광고의 대상에 따라 실제 그들이 인지하고 선호하는 광고매체와 방법을 적절히 이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의료광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9 9 보건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임상남 2016  381
2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 기반마련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이은환 2016  149
247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 운영에서 생성되는 의료 빅데이터의 활용가치 / 최준영 2015  137
24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정책 현황과 과제 / 강희정 2016  280
245 9 보건의료 클라우드 환경에서 의료 빅데이터 활용 및 전망 / 한정수 2014  146
244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 동향과 법적 제문제 - 일본의 논의를 참고로 / 김진영 2016  60
243 9 보건의료 u-Health 환경을 위한 의료 검사 데이터 통합 전송 및 웹 서비스 구축 / 신현덕 2011  117
242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의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김성수 2014  109
241 9 보건의료 시험 연구용 LMO 관리 프로그램 개발 /유병천 2016  94
240 9 보건의료 체외진단용 제품의 의료기기 허가 관리에 대한 고찰 / 이원규 2015  142
239 9 보건의료 헬스케어산업 관점에서 본 린스타트업 적용 사례연구 / 임성훈, 김용태 2015  171
238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장해순 2007  108
237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연구 / 우예순 2008  118
» 9 보건의료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변성진 2009  110
235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가 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한수연 2009  66
234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규제에 관한 연구 : 매체별 의료광고를 중심으로 / 원선애 2003  208
233 9 보건의료 인터넷 의료광고가 병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성일 2012  81
232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가 소비자 병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택준 2010  166
231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의료광고 수행특성 / 이동우 2015  55
230 9 보건의료 의료전문가와 소비자의 전문병원광고에 대한 태도와 병원브랜드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 우예순 2012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