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과학기술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67363 
의료인의 거짓 경력에 관한 의료광고에 대한 고찰
= 醫療人の虛僞の經歷に關する醫療廣告につい ての考察

                     

  • 저자명

    백경희 ( Baek Kyoung Hee )                                               

  • 학술지명

    과학기술법연구                      

  • 권호사항               

    Vol.22 No.3 [2016]                                                           

  • 발행처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3-192(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의료인의 경력을 의료소비자인 환자에게 알리는 것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현행 의료법은 의료광고를 할 수 있는 사항의 하나로 파악하고 있고, 그것이 거짓이거나 과장될 경우 의료광고로 ...
  • 의료인의 경력을 의료소비자인 환자에게 알리는 것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현행 의료법은 의료광고를 할 수 있는 사항의 하나로 파악하고 있고, 그것이 거짓이거나 과장될 경우 의료광고로 허용될 수 없다고 보고있다. 의료광고는 그동안 ‘의료`가 지니는 공공성때문에 그것이 허용되는지에 관하여 오랜 시간 논의가 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의료의 영역에서도 시장경제의 원리가 지배하고 있어 의료광고의 상업광고성을 부정할 수 없다. 또한 의료에 대한 내용을 외부에 표시하여 알리는 행위는 의료소비자인 환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고, 의료인의 표현의 자유 내지 직업의 자유의 보호영역에 해당하므로 의료광고의 상업광고성을 부정하기 어렵다. 대법원 2016. 6. 23. 선고 2014도16577 판결에서는 피고인이 적극적으로 거짓 의료경력을 작출하여 액자화하여 의료기관에 게시한 것이 거짓의료광고인지가 문제되었다. 대법원은 법문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은 `전파가능성`을 중심으로 판단하였고, 그러한 행위가 ‘전파가능성`이 없어 의료법상 의료광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의료광고도 광고의 하나라는 점을 고려할 때, 허위 의료광고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도, 광고의 본질에 따라야 한다. 따라서 이는 의료소비자인 환자 측면에서의 오인가능성과 의료시장 질서의 교란가능성을 토대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68 9 보건의료 카데바를 이용한 해부학 실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손인아 2013  250
467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2011  65
466 9 보건의료 의료법 제56조 의료광고금지 조항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최현숙 2015  216
465 9 보건의료 새로운 과학기술도입과 의료기기 해당성 판단 / 배현아 2015  53
» 9 보건의료 의료인의 거짓 경력에 관한 의료광고에 대한 고찰 / 백경희 2016  75
463 9 보건의료 국내 의약품 유통 규제 및 주요 법적 문제 / 임혜연 2016  214
462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제56조의 태도 / 정문성 2016  197
461 9 보건의료 인터넷 환경에서의 의료광고 규제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황성기 2016  51
460 9 보건의료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 동향 :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공중보건·의약학 분야의 비교 / 이선정, 이수범 2016  117
459 9 보건의료 헬스케어산업 관점에서 본 린스타트업 적용 사례연구 / 임성훈, 김용태 2015  171
458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의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김성수 2014  109
457 9 보건의료 u-Health 환경을 위한 의료 검사 데이터 통합 전송 및 웹 서비스 구축 / 신현덕 2011  117
456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 동향과 법적 제문제 - 일본의 논의를 참고로 / 김진영 2016  60
455 9 보건의료 클라우드 환경에서 의료 빅데이터 활용 및 전망 / 한정수 2014  146
454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정책 현황과 과제 / 강희정 2016  280
453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 운영에서 생성되는 의료 빅데이터의 활용가치 / 최준영 2015  137
45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 기반마련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이은환 2016  149
451 9 보건의료 체외진단용 제품의 의료기기 허가 관리에 대한 고찰 / 이원규 2015  142
450 9 보건의료 시험 연구용 LMO 관리 프로그램 개발 /유병천 2016  94
449 9 보건의료 환자만족도 제고와 일차의료 기관 활성화를 위한 의료전달체계 적정화 연구 / 오동일 2016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