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성신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41984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Legal Problems of the excessive Regulation concerning the medical treat advertisement

                                

  • 저자명

    이정선(Lee Jung Sun)                                              

  • 학술지명

    성신법학                           

  • 권호사항

    Vol.- No.11 [2011]                                                           

  • 발행처

    성신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89-127(3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1년

  • KDC

    360

초록 (Abstract)

  • 과거 신의 대리인으로 추앙받던 의료인들은 사회변화에 따라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직업인 중의 하나로 격하되었고, 특권이 많았던 만큼 추락의 속도도 다른 직업군보다 빠른 양상을 보...
  • 과거 신의 대리인으로 추앙받던 의료인들은 사회변화에 따라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직업인 중의 하나로 격하되었고, 특권이 많았던 만큼 추락의 속도도 다른 직업군보다 빠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헌법재판소에서도 의료인에 대한 지나친 광고규제는 의료인의 직업수행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이라며 위헌 결정을 하였고, 이에 따라 2007년 개정 의료법에서는 의료광고 영역에서, 기존의 원칙적 금지와 예외적 허용이라는 의료광고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변경하여, 원칙적 허용과 예외적 금지라는 혁신적 변화를 담은 개정을 이루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법과 의료관계행정처분규칙은 여전히 의료광고 위반에 대한 강한 규제를 유지하고 있는바, 의료광고에 대한 규제 위반을 이유로 한 기소유예처분이나 선고유예 판단을 받은 사안에 대해서까지 반드시 면허자격정지처분을 부과하는 제도가 그것이다. 의료법 위반에 대한 필요적 면허자격정지처분 부과제도는, 규정 형식에 의하더라도 재량규정염이 명백하나 기속행위 규정으로 잘못 운영되고 있고, 직업수행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고 있으며, 이중처벌금지원칙에도 위배된다. 더군다나 의료법 위반 사안에 대하여 수사주체인 검찰에서 처벌의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하거나, 중립적 판단기관인 법원에서조차 선고유예 판단을 한 사안에 대하여 의료인에게는 치명적인 면허자격정지처분을 부과하는 제도는 자기모순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폐지되거나 특수지역 의료인에 대한 처벌 면제제도 업무정지에 대한 과징금부과제도 등을 참고하여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 Abs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749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 동향 / 이선원 외 2011  62
748 9 보건의료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 김미영 2019  62
747 9 보건의료 Evaluating the Legitimacy of Contemporary Legal Strategies for Obesity 2015  63
746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745 9 보건의료 입원환자의 위급 상황 시 위치추적이 가능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나한범, 장영주 2015  63
744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김유호 2018  63
743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정당화와 면책가능성 / 임상규 2019  63
74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김명희 2014  64
741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전달기법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2014  64
740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전진아 외 2018  64
739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2018  64
738 9 보건의료 의약품 관리정책과 소비자권익 확보방안 - 주사제 관리체계의 개선 - / 문상혁 2018  64
»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2011  65
736 9 보건의료 국민건강과 올바른 의료제도 확립을 위한 2016년 보건의료 주요 현안 2016  65
735 9 보건의료 공공기관 생성 건강정보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일개 공공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 이도화 2015  65
734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에서 상용치료원의 유무가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윤완중 2014  65
733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5
732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 정순형 2019  65
731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에 대한 최근 논의 / 박대웅, 이주하 2016  66
730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가 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한수연 2009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