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성신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41984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Legal Problems of the excessive Regulation concerning the medical treat advertisement

                                

  • 저자명

    이정선(Lee Jung Sun)                                              

  • 학술지명

    성신법학                           

  • 권호사항

    Vol.- No.11 [2011]                                                           

  • 발행처

    성신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89-127(3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1년

  • KDC

    360

초록 (Abstract)

  • 과거 신의 대리인으로 추앙받던 의료인들은 사회변화에 따라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직업인 중의 하나로 격하되었고, 특권이 많았던 만큼 추락의 속도도 다른 직업군보다 빠른 양상을 보...
  • 과거 신의 대리인으로 추앙받던 의료인들은 사회변화에 따라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직업인 중의 하나로 격하되었고, 특권이 많았던 만큼 추락의 속도도 다른 직업군보다 빠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헌법재판소에서도 의료인에 대한 지나친 광고규제는 의료인의 직업수행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이라며 위헌 결정을 하였고, 이에 따라 2007년 개정 의료법에서는 의료광고 영역에서, 기존의 원칙적 금지와 예외적 허용이라는 의료광고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변경하여, 원칙적 허용과 예외적 금지라는 혁신적 변화를 담은 개정을 이루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법과 의료관계행정처분규칙은 여전히 의료광고 위반에 대한 강한 규제를 유지하고 있는바, 의료광고에 대한 규제 위반을 이유로 한 기소유예처분이나 선고유예 판단을 받은 사안에 대해서까지 반드시 면허자격정지처분을 부과하는 제도가 그것이다. 의료법 위반에 대한 필요적 면허자격정지처분 부과제도는, 규정 형식에 의하더라도 재량규정염이 명백하나 기속행위 규정으로 잘못 운영되고 있고, 직업수행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고 있으며, 이중처벌금지원칙에도 위배된다. 더군다나 의료법 위반 사안에 대하여 수사주체인 검찰에서 처벌의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하거나, 중립적 판단기관인 법원에서조차 선고유예 판단을 한 사안에 대하여 의료인에게는 치명적인 면허자격정지처분을 부과하는 제도는 자기모순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폐지되거나 특수지역 의료인에 대한 처벌 면제제도 업무정지에 대한 과징금부과제도 등을 참고하여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 Abs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789 9 보건의료 의료에 있어서 미성년자의 자기결정권 / 김상찬 2011  753
788 9 보건의료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문상혁 2011  52
787 9 보건의료 병원외래환자의 약국선택권 / 이용균 2011  98
786 9 보건의료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약사법을 중심으로 / 조영기, 김상태 2011  115
785 9 보건의료 한국의 응급의료서비스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 재난응급의료체계의 현황을 중심으로 / 김유호 2011  351
784 9 보건의료 종합병원 의료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K대학병원 외래,입원고객을 중심으로 / 구영애 2011  307
783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험수리 모형에 관한 연구 / 김정아 2011  137
782 9 보건의료 국내 바이오의약품 기업체의 연구사업 수요 조사 및 분석 / 박기대 2011  111
781 9 보건의료 식약청의 바이오의약품 분야 평가기반 연구현황 / 유시형 2011  84
»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2011  65
779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근거한 의료기관 선택에 관한 연구 / 신혜원 2011  55
778 9 보건의료 u-Health 환경을 위한 의료 검사 데이터 통합 전송 및 웹 서비스 구축 / 신현덕 2011  117
777 9 보건의료 한국 HIV/AIDS 감염인 운동의 흐름과 쟁점 / 임정섭 2011  101
776 9 보건의료 새로운 수혈 가이드라인 / 김현옥 2011  53
775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 동향 / 이선원 외 2011  65
774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소비자광고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혜경 2011  196
773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현희 2012  1755
772 9 보건의료 위험의 지구화, 지구화의 위험 - 한국의 '광우병' 논쟁 연구 / 하대청 2012  264
771 9 보건의료 사상체질의학을 적용한 국내 간호연구 동향 분석 / 김윤영 외 2012  225
770 9 보건의료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천병철 외 2012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