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Ewha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83971 

혈액관리법상 ‘임의비급여 수혈’의 허용성 검토
 :  대법원 2012. 6. 18. 선고 2010두27639, 27646 전원합의체 판결과 관련하여

= The Study on the Possibility of Allowing Unfixed Insurance Benefit in National Blood Management Act

                                

  • 저자명

    김한가희                                              

  • 학술지명

    Ewha Law Review                           

  • 권호사항

    Vol.3 No.1 [2013]                                                         

  •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3-65(2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3년

초록 (Abstract)

  • 현행 국민건강보험에서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보험‘급여’를 지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체계에서는 급여로 인정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급여비용을 지급할 수 없는데, 이때의 비급여...
  • 현행 국민건강보험에서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보험‘급여’를 지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체계에서는 급여로 인정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급여비용을 지급할 수 없는데, 이때의 비급여는 크게 ‘법정비급여’와 ‘임의비급여’로 나누어진다. ‘수혈’은 진료행위로서 인정되나 비급여 항목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아 원칙적으로 ‘급여’로 인정된다. 그러나 의료기관이 급여 형식으
    로 청구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심사를 받고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의 보상을 받는 절차를 거치는 대신 ‘임의비급여’의 형식으로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원에서 그 보상을 요구하는것도 사실상 가능하다. 이는 혈액관리법 제14조 제2항에 의해 헌혈증서를 제출할 경우 원칙적으로 수혈자는 무상으로 수혈을 받을 수 있고 의료기관은 이를 대한적십자사에 청구하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임의비급여 진료비 청구에 대한 사전 제한 규정도 동법에 마련되어있지 않아 이러한 방식으로 청구하더라도 사전예방이 어렵다.
    혈액관리법에서는 의료기관이 수혈을 하였을 경우에 대한적십자사총재가 헌혈환급적립금에서 수혈비용을 보상하도록 한다. 이에 공단으로부터 급여로 보상받을 수 있음에도 임의비급여 형식으로 대한적십자사 총재에게 보상을 청구하여 지급받는 경우 이를 환수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이러한 점에 대해 2012. 6.에 선고된 대법원 판결(2007년 논란이 되었던 임의비급여 진료비 청구에 대한 과징금 사건(이른바 ‘성모병원’에 대한 판결))과 혈액관리법, 국민건강보험법 등의 관계법령에 비추어 임의비급여 방식의 수혈에 대한 허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우리나라의 건강보험 급여제도 구조
  • 1. 국민건강보험 급여제도
  • 2. 소결
  • Ⅲ. 혈액관리법상의 무상수혈 원칙과 임의비급여의 문제
  • 1. 혈액관리법상의 무상수혈 원칙 및 수혈비용 보상제도
  • 2. 혈액관리법상 임의비급여 심사 규정의 미비
  • 3. 소결
  • Ⅳ. 임의비급여에 의한 수혈비용 보상 가능성
  • 1. 임의비급여에 대한 판결 검토
  • 2. 2012. 6. 이전의 대법원 판례
  • 3. 대법원 2012. 6. 18. 선고 2010두27639, 27646 전원합의체 판결
  • 4. 소결
  • Ⅴ. 기지급된 수혈 비용에 대한 환수 가능성
  • 1. 문제점
  • 2. 국민건강보험법 및 혈액관리법에 대한 입법목적
  • 3. 판례의 입장
  • 4. 기지급된 보상금에 대한 환수가능성 검토
  • 5. 소결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09 9 보건의료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천병철 외 2012  298
708 9 보건의료 고혈압ㆍ당뇨병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우선순위 인식에 관한 연구 / 변도화 2014  298
707 9 보건의료 문재인 케어의 쟁점과 정책 방향 / 강희정 2018  298
706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응조치에 나타난 법률의 문제점 고찰과 개선방안/박미정 외 2015  297
705 9 보건의료 러시아와 한국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민경록 2018  297
704 9 보건의료 한국형 원격의료의 현황과 전망 / 조석균 2016  297
703 9 보건의료 노인을 위한 보건의료에서 ICT 적용에 관한 윤리적 고찰 / 이은영 2018  297
702 9 보건의료 여성주체가 겪는 고통과 치유 / 노성숙 2018  296
701 9 보건의료 중환자의 윤리적 쟁점들/문재영 2015  295
700 9 보건의료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 공정경쟁규약의비교법적 고찰 및 개선방안: 국제약업단체연합회 소속 협회 규약과의 비교를 중심으로/안효준 2015  295
699 9 보건의료 최근 조류인플루엔자 현황과 바이러스 특성 / 이윤정 2016  294
698 9 보건의료 고령화 시대에 따른 보건의료 서비스 산업 현황 및 분석 / 김진광 2018  294
697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의 제도분석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고현신 2001  293
696 9 보건의료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김아진, 백진휘 2015  292
» 9 보건의료 혈액관리법상 ‘임의비급여 수혈’의 허용성 검토 / 김한가희 2013  292
694 9 보건의료 트랜스휴먼 사회에서 몸과 마음의 미래 / 진설아 외 2018  292
693 9 보건의료 의약품 디자인 분쟁사례를 통한 시사점 도출 및 보호방안 연구 / 박해림 2017  290
692 9 보건의료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ICT 활용 의료서비스 제공의 경제성 연구/최솔지 2018  290
691 9 보건의료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 김지은 2019  290
690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플랫폼 개발 / 고동희 2016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