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Ewha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83971 

혈액관리법상 ‘임의비급여 수혈’의 허용성 검토
 :  대법원 2012. 6. 18. 선고 2010두27639, 27646 전원합의체 판결과 관련하여

= The Study on the Possibility of Allowing Unfixed Insurance Benefit in National Blood Management Act

                                

  • 저자명

    김한가희                                              

  • 학술지명

    Ewha Law Review                           

  • 권호사항

    Vol.3 No.1 [2013]                                                         

  •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3-65(2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3년

초록 (Abstract)

  • 현행 국민건강보험에서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보험‘급여’를 지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체계에서는 급여로 인정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급여비용을 지급할 수 없는데, 이때의 비급여...
  • 현행 국민건강보험에서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보험‘급여’를 지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체계에서는 급여로 인정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급여비용을 지급할 수 없는데, 이때의 비급여는 크게 ‘법정비급여’와 ‘임의비급여’로 나누어진다. ‘수혈’은 진료행위로서 인정되나 비급여 항목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아 원칙적으로 ‘급여’로 인정된다. 그러나 의료기관이 급여 형식으
    로 청구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심사를 받고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의 보상을 받는 절차를 거치는 대신 ‘임의비급여’의 형식으로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원에서 그 보상을 요구하는것도 사실상 가능하다. 이는 혈액관리법 제14조 제2항에 의해 헌혈증서를 제출할 경우 원칙적으로 수혈자는 무상으로 수혈을 받을 수 있고 의료기관은 이를 대한적십자사에 청구하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임의비급여 진료비 청구에 대한 사전 제한 규정도 동법에 마련되어있지 않아 이러한 방식으로 청구하더라도 사전예방이 어렵다.
    혈액관리법에서는 의료기관이 수혈을 하였을 경우에 대한적십자사총재가 헌혈환급적립금에서 수혈비용을 보상하도록 한다. 이에 공단으로부터 급여로 보상받을 수 있음에도 임의비급여 형식으로 대한적십자사 총재에게 보상을 청구하여 지급받는 경우 이를 환수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이러한 점에 대해 2012. 6.에 선고된 대법원 판결(2007년 논란이 되었던 임의비급여 진료비 청구에 대한 과징금 사건(이른바 ‘성모병원’에 대한 판결))과 혈액관리법, 국민건강보험법 등의 관계법령에 비추어 임의비급여 방식의 수혈에 대한 허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우리나라의 건강보험 급여제도 구조
  • 1. 국민건강보험 급여제도
  • 2. 소결
  • Ⅲ. 혈액관리법상의 무상수혈 원칙과 임의비급여의 문제
  • 1. 혈액관리법상의 무상수혈 원칙 및 수혈비용 보상제도
  • 2. 혈액관리법상 임의비급여 심사 규정의 미비
  • 3. 소결
  • Ⅳ. 임의비급여에 의한 수혈비용 보상 가능성
  • 1. 임의비급여에 대한 판결 검토
  • 2. 2012. 6. 이전의 대법원 판례
  • 3. 대법원 2012. 6. 18. 선고 2010두27639, 27646 전원합의체 판결
  • 4. 소결
  • Ⅴ. 기지급된 수혈 비용에 대한 환수 가능성
  • 1. 문제점
  • 2. 국민건강보험법 및 혈액관리법에 대한 입법목적
  • 3. 판례의 입장
  • 4. 기지급된 보상금에 대한 환수가능성 검토
  • 5. 소결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9 9 보건의료 한의의료행위와 법적 문제 / 김형선 2018  81
208 9 보건의료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최호영 2016  80
207 9 보건의료 요양병원 수가제도에 대한 소고 - 환자군 조정 판결을 중심으로 - / 권혜옥 2017  80
206 9 보건의료 정밀의료를 위한 자기추적기술과 개인의 자율성 / 류재한 2018  80
205 9 보건의료 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불법행위책임(不法行爲責任)의 행정벌화(行政罰化) / 이원복 2017  79
204 9 보건의료 인공지능로봇의료의 도덕형이상학적 모색: 의료적 전자인간의 책임가능성 / 정창록 2018  79
203 9 보건의료 국내외 치매관리 동향과 시사점 / 박종연 외 2018  79
202 9 보건의료 감염방지의무위반에 따른 민사상의 책임과 한계 : 독일의 판례와 증명책임완화규정을 중심으로 / 김기영 2018  79
201 9 보건의료 지구화된 의료시장에서 연구자와 환자의 정체성 / 한광희 2019  79
200 9 보건의료 건강정책에 대한 의사들의 정책 정향성 및 책무성: 금연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유현재 2018  78
199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198 9 보건의료 제네릭 의약품 가격이 점유율에 미치는 효과분석 / 신주영, 최상은 2008  77
197 9 보건의료 현행 및 개정안 환자안전법의 자율보고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신재명 외 2018  77
196 9 보건의료 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이인영 2009  76
195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6
194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
193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192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191 9 보건의료 정형화 수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 분류 및 분석 / 이미연 외 2014  76
190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