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314696 
원격의료의 활성화를 위한 보험제도의 개선과제
= Improvements of Insurance Legal Framework for the Invigoration of Telemedicine -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U.S. Medical Social Security -

                         

  • 저자명

    김범준(Kim, Beom-Joon)                                             

  • 학술지명

    법학논고                           

  • 권호사항

    Vol.56 No.- [2016]                                                         

  • 발행처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21-250(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우리는 바야흐로 인공지능(AI)과 로봇,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 및 3D 프린팅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를 목전에 두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은 보험 산업에도...
  • 우리는 바야흐로 인공지능(AI)과 로봇,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 및 3D 프린팅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를 목전에 두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은 보험 산업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고도로 발전된 정보통신기술과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술이 보건의료분야에서 활용된다면 전통적인 의료서비스 전달체계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현재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노령인구의 증가현상을 감안한다면 원격의료는 어쩌면 자연스러운 시대적 요구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는 원격의료의 육성과 활성화에 적극적인 입장을 견지해 오고 있는바 2002년 3월, 의료법 개정을 통해 원격의료 규정을 신설하였고, 2014년 4월과 2016년 6월에는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까지 허용하는 의료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되었다. 시범사업도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그 적용범위와 내용을 개선하여 확대 시행해 오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원격의료는 그 정착을 위한 다수의 선결과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어 발전에 상당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 중 보험급여의 적용문제는 가장 중요한 선결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원격의료행위를 국민건강보험의 급여대상으로 포함시키자는 최근의 논의에 착안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원격의료에 관한 한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미국의 관련 법제와 보험급여 운영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 법제의 보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우리나라의 원격의료제도와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운영 현황
  • Ⅲ. 미국의 원격의료제도와 관련 보험제도의 운영 현황
  • Ⅳ. 시사점 및 개선방안: 결론에 갈음하여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9 9 보건의료 질환 중심 의료 데이터 융합 모델을 통한 템플릿 기반 의료 정보 제공 기법 / 박예슬 2017  56
88 9 보건의료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서 「中國侵权责任法」상 의료손해 책임에 관한 연구 / 방성환 2017  56
87 9 보건의료 주요 선진국에서의 보건의료 지출 현황 비교 / 조민우 2018  56
86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 적용 의료기기의 허가심사 방안 / 손승호 외 2018  56
85 9 보건의료 개인의 복지태도가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 동의에 미치는 영향/김도영 2018  56
84 9 보건의료 새 정부에 바라는 보건의료와 건강정책 / 우석균 2017  56
83 9 보건의료 한국노년학의 보건ㆍ의료ㆍ건강영역 연구동향 / 김현숙 외 2018  56
82 9 보건의료 에이즈관련 의료차별방지를 위한 법적 제문제 / 강선주 2017  56
»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활성화를 위한 보험제도의 개선과제 / 김범준 2016  55
80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근거한 의료기관 선택에 관한 연구 / 신혜원 2011  55
79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의료광고 수행특성 / 이동우 2015  55
78 9 보건의료 의료기술평가를 이용한 근거중심 의사결정제도 / 안정훈 2017  55
77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표준에 관한 연구 : 표준화 분석 및 전망 / 김창수 2008  55
76 9 보건의료 일차 의료 기관에서의 체계적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효과 및 임상적 유용성 / 김이형 2015  55
75 9 보건의료 진료비와 책임제한 / 배병일 2017  55
74 9 보건의료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의 사후관리 사업 동의의 결과와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연구 / 김호중 외 2018  55
73 9 보건의료 의료행위 개념의 법제화 시론 / 박정연 2018  55
72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지원시스템 모델 개발 / 장광수 2013  54
71 9 보건의료 의약품 시판허가심사에 있어 정보공개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김나경 2018  54
70 9 보건의료 의료 빅 데이터의 활용과 인간공학적 의미에 대한 문헌연구 / 박희석 2018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