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ERI Brief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22351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강소기업 성장사례(이스라엘 Teva社) 분석 및 시사점

                     

  • 저자명

    송용주                                             

  • 학술지명

    KERI Brief                           

  • 권호사항

    Vol.16 No.16 [2016]                                                         

  • 발행처

    한국경제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2(1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본 보고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시장구조를 지닌 이스라엘에서 Teva가 글로벌 제약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원인을 경영 전략과 산업 정책 측면에서 분석했다. 이스라엘의 산학연 협력과 R...
  • 본 보고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시장구조를 지닌 이스라엘에서 Teva가 글로벌 제약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원인을 경영 전략과 산업 정책 측면에서 분석했다. 이스라엘의 산학연 협력과 R&D 지원을 통해 장기간의 기초연구 투자가 가능했고 신약 개발로 이어졌으며, 자본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으로 자금력 확보와 지속적인 M&A를 통한 사업 다각화가 가능했다. 글로벌 의약품 인허가 규정과 임상실험 기준을 국내에 도입함으로써 해외 진출에 용이한 환경도 구축했다. 그러나 이스라엘 정부의 제네릭 의약품 선호 정책으로 Teva가 제네릭 중심으로 성장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신약을 개발하는 글로벌 제약기업들을 뛰어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보고서는 글로벌 제약기업 대비 규모가 작은 국내 제약기업들 역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확충하는 전략이 필요하며, 글로벌 의약품 인허가 규정의 도입과 임상 데이터 상호 인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장기적으로는 신약 개발을 장려하는 제도적 환경 구축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1. 검토배경
  • 2. Teva社 개요 및 경영 성과
  • 3. Teva의 성장 요인
  • 4. 결론 및 시사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49 9 보건의료 4대 중증질환 보장성 정책이 환자의 의료이용과 재난적 의료비에 미친 영향 / 이현옥 2018  184
5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문재활치료 건강보험수가 현황 분석 : ICF 모델을 중심으로 / 차유진 외 2017  183
547 9 보건의료 건강보험수가 결정 체계 분석과 개선 방안 : 전문가의견 조사를 중심으로 / 정숙경 2011  183
546 9 보건의료 기타 치매의 임상적 특징 / 전진숙 2000  183
545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규제완화 논의에 대한 소고 -미국, 캐나다 및 유럽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한철 2013  182
544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이용과 한계 ― 대만판례 TAHR vs NHIA (2012)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수 2017  182
543 9 보건의료 질병의 사회적 구성과 의학 지식의 변화 요인에 대한 연구 / 백영경 2018  182
542 9 보건의료 한국 고령 환자 전환기 의료 관리체계 개선 방안 : 미국, 호주 비교법 제도 연구 / 백상숙 2018  182
541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540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0
539 9 보건의료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 이미나 외 2016  179
538 9 보건의료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 김선욱 외 2014  179
537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의 현황 및 향후 개선 과제 / 송영신 2017  178
536 9 보건의료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 노정화 2019  178
535 9 보건의료 감염환자 검사자의 안전권,건강권,의료환경권 / 박상웅 2017  177
»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강소기업 성장사례(이스라엘 Teva社) 분석 및 시사점 / 송용주 2016  176
533 9 보건의료 근거기반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수용개작 및 적용효과 / 김유정 2019  176
532 9 보건의료 의료광고를 바라보는 방향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비자의 백신 예방 접종 의도에 미치는 효과 / 윤도연 2016  175
531 9 보건의료 여성에 대한 제도적, 구조적 폭력인 산과(産科) 의료폭력(obstetric violence)개념의 부상 / 윤지영 2017  175
530 9 보건의료 에이즈(AIDS) 환자의 인권에 대한 한국교회 지도자의 윤리의식연구 : 생명의료윤리 입장에서 / 이용석 1999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