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319928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험수리 모형에 관한 연구 = Exploring an actuarial model for Long Term Care Insurance in Korea

                                           

  • 저자

    김정아                                       

  • 형태사항

    vii, 69 p. ; 26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일원) 2011.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1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특징을 고려한 이산형 다중 상태 모형을 이용하여 향후 40년 동안의 수요를 예측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8년 7월에 이 제도가 도입된 지 얼마 ...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특징을 고려한 이산형 다중 상태 모형을 이용하여 향후 40년 동안의 수요를 예측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8년 7월에 이 제도가 도입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재정적인 측면의 안정성 및 지속 가능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보험계리적 전문성을 토대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수요를 예측하고자 한다.
    다중 상태 모형의 적합 과정 단계에서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추가 사망률, 새로운 장애를 입게 되는 가능성과 그 장애의 심각한 정도 그리고 장애 상태에서의 악화 가능성을 표현한 함수식을 적용하였다. 추가적으로 장애에 관련한 각 요소에 10개의 추세 가정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청 인구추계에서 노인 인구비율이 꾸준히 증가함을 볼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들도 늘어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분석결과 40년 동안 전체 노인 인구수가 크게 증가하게 될지라도 중증 장기요양등급에 속한 인구 비율이 감소함으로 인해 향후 우려되고 있는 노인 인구수의 영향이 개선되어 질 수 있다고 전망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國文抄錄ⅴ
  • 英文抄錄ⅵ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방법 1
  • 1.2 선행연구 분석 2
  • 제 2 장 데이터 분석 3
  • 2.1 장애 관련 자료 3
  • 2.2 유병률 4
  • 2.3 전이확률 5
  • 2.4 추세 데이터 6
  • 제 3 장 전이확률 모형 8
  • 3.1 개요 8
  • 3.2 사망률 9
  • 3.2.1 건강사망률 9
  • 3.2.2 추가사망률 9
  • 3.3 장애상태로의 전이 10
  • 3.3.1 장애를 입게 될 확률 10
  • 3.3.2 발생 장애의심각도 12
  • 3.3.3 장애 상태에서의 악화 12
  • 3.4 모형의 적합과정 13
  • 제 4 장 추세 가정 15
  • 4.1 장애 발생률의 개선 15
  • 4.2 발생 장애 심각도의 개선 및 악화 가능성의 개선 16
  • 4.3 건강기대수명 18
  • 제 5 장 전이확률 모형을 근거한 추정 19
  • 5.1 추정 방법론 19
  • 제 6 장 추정 결과 및 분석 21
  • 6.1 인구추계 결과 21
  • 6.1.1 남자 인구추계 분석 22
  • 6.1.2 여자 인구추계 분석 23
  • 6.2 시나리오 별 건강기대수명 24
  • 제 7 장 결론 26
  • 7.1 한계점 및 향후 연구 과제 26
  • 참고문헌 28
  • APPENDIX 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89 9 보건의료 의료에 있어서 미성년자의 자기결정권 / 김상찬 2011  752
788 9 보건의료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문상혁 2011  52
787 9 보건의료 병원외래환자의 약국선택권 / 이용균 2011  98
786 9 보건의료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약사법을 중심으로 / 조영기, 김상태 2011  115
785 9 보건의료 한국의 응급의료서비스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 재난응급의료체계의 현황을 중심으로 / 김유호 2011  350
784 9 보건의료 종합병원 의료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K대학병원 외래,입원고객을 중심으로 / 구영애 2011  305
»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험수리 모형에 관한 연구 / 김정아 2011  137
782 9 보건의료 국내 바이오의약품 기업체의 연구사업 수요 조사 및 분석 / 박기대 2011  111
781 9 보건의료 식약청의 바이오의약품 분야 평가기반 연구현황 / 유시형 2011  84
780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2011  65
779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근거한 의료기관 선택에 관한 연구 / 신혜원 2011  55
778 9 보건의료 u-Health 환경을 위한 의료 검사 데이터 통합 전송 및 웹 서비스 구축 / 신현덕 2011  117
777 9 보건의료 한국 HIV/AIDS 감염인 운동의 흐름과 쟁점 / 임정섭 2011  101
776 9 보건의료 새로운 수혈 가이드라인 / 김현옥 2011  53
775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 동향 / 이선원 외 2011  62
774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소비자광고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혜경 2011  196
773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현희 2012  1755
772 9 보건의료 위험의 지구화, 지구화의 위험 - 한국의 '광우병' 논쟁 연구 / 하대청 2012  262
771 9 보건의료 사상체질의학을 적용한 국내 간호연구 동향 분석 / 김윤영 외 2012  224
770 9 보건의료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천병철 외 2012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