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희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0209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 경험


 
기타서명 Coping experience of moral distress in emergency nurses
저자 이나경
형태사항 v, 40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경희대학교
             지도교수: 황지인
             참고문헌: p. 33-38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6. 2
DDC 612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도덕적 고뇌의 대응에 대해 깊이 있게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2014년 12월 15일부터 2015년 2월 15일까지 경상도 지역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응급실 경력 2년 이상 20년 미만의 간호사 1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응급실 간호사들이 경험한 도덕적 고뇌 대응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목적적 표집법에 따라 주요 정보제공자를 모집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질적 내용 분석 방법으로분석하였다. 이 때,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모든 면담 내용은 녹음하였으며, 이를 전사한 후 전통적 내용 분석 방법(Hsieh & Shannon, 2005)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실질적 가치 윤리학의 측면에서 도덕적 고뇌 대응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은 감정 중심의 수동적인 대응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주제로부터 총 3개의 범주와 8개의 코드, 72개의 의미 있는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주제로부터 도출된 범주의 세부 내용으로는 ‘고뇌 상황에 대한 무비판적 행동 순응’, ‘행동하지 않음에 대한 합리화: 자아 및 조직의 보호를 위한’,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결정 불가능성: 도피-회피’의 3가지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2. '고뇌 상황에 대한 무비판적 행동 순응'의 하위 범주로는 ‘환자에게 상황을 사실대로 말하지 못함’, ‘동등한 간호를 제공하지 못함’, ‘환자의 사생활 보호를 못함’, '너무 바빠서 신경쓰지 않음', '재정적 문제에 대한 무력함'이 있었으며, '행동하지 않음에 대한 합리화: 자아 및 조직의 보호를 위한'의 하위 범주는 ‘부서간 목표하는 바가 서로 다름’, ‘직장동료 관계의 지속적 연대감 유지’, '자신의 생계를 위협을 받고 싶지 않음'을 포함하였다.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자신감 없음: 도피-회피'의 하위 범주에는 ‘과거 윤리적 상황의 실패 결과를 반추함’, ‘실재적 이득과 보편 선 사이의 정답이 없음’, ‘사회에서 윤리적 전문 역할 이행에 있어 낮은 직업적 위상'이 결과로 도출되었다.
3. 본 연구로 도출된 도덕적 고뇌에 대한 감정 중심의 수동적 대응은 실질적 가치 윤리학의 측면에서, 비록 문제 해결에서 능동성이 떨어지는 감정 중심의 부정적 대응일지라도, 도덕적 고뇌 과정을 수행하는 그 자체가 유의미적 활동이라고 해석된다. 윤리의 부재가 득세하는 현 사회 분위기와는 다르게 간호 조직 내 환경은 주체적 윤리성을 고양하는 고도의 정신적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이 사유 과정 자체가 하나의 긍정성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대응 양상인 순응, 합리화, 도피-회피 반응은 현상과 이상을 잇는 순환의 알고리즘과 같다. 즉 도덕적 고뇌의 반추활동 자체가 선이라고 대표되는 보편의 당위와 실재적 현실을 매개하는 상호 연관의 활동으로써 의미 있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의 대응은 감정 중심의 수동적 대응으로 귀결되어졌다. 이는 사회적 환경 영향의 직•간접적 상호 관계로 기인한 것이다. 실질적 가치 윤리학의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비록 감정 중심의 대응기전이 직접적으로 당면해있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지라도 이는 윤리적 주체의 독립성, 사회적 관계성, 세계성이 공동 행위 작용으로 도출한 고도의 이성적 행위연관 활동이다. 윤리적 활동 자체가 뚜렷한 정답이 없고 보편 선이라는 이상을 찾아가는 정신적 작용이라는 점을 전제한다면,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활동은 실천적 존재의 주체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실천적 학문의 영역인 간호학에서 문제 해결을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도덕적 고뇌에 대해 사회적 환경의 영향 하에서 수동적 감정 중심의 대응 기전을 보이고 있는 응급실 간호사들을 위해 사회적이고 조직적인 접근의 해결방안이 제언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간호 조직 내의 발전적 도덕 지향과 실질적 문제 해결 방식으로의 도약을 위해 체계적이고 개방된 토론 방식의 의사 소통 체계 구축과 윤리 교육 증설 및 도덕적 고뇌 해결을 위한 프로토콜 중재안 마련과 같은 조직적 지지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목차
Ⅰ.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1
2.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4
1. 도덕적 고뇌와 대응기전 4
2. 실질적 가치 윤리와 간호 8
Ⅲ. 연구 방법 11
1. 연구설계 11
2. 연구대상 11
3. 연구질문 11
4. 자료수집방법 12
5.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12
6. 자료분석 방법 13
7. 신뢰도와 타당도 14
Ⅳ. 연구결과 16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2.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의 대응 기전 17
Ⅴ. 논의 28
Ⅵ. 결론 및 제언 32
Ⅶ. 참고문헌 33



주제어
도덕적 고뇌, 응급실 간호사, 도덕적 고뇌 대응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829 9 보건의료 인공지능기술 융합 및 협력패턴에 관한 연구 / 배영임 외 2016  47
828 9 보건의료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방안에 따른 국민의 의료기관 이용 변화 조사/김민경 외 2018  47
827 9 보건의료 의료개혁과 의료계획의 수립/이규식, 이신호, 신현웅 2017  47
826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현황과 과제 / 이상일 2018  47
825 9 보건의료 중국 사전지시(advance directive)의 현황과 쟁점/리샤, 최영춘(번역) 2018  47
824 9 보건의료 Obesity and Obligation 2015  48
823 9 보건의료 노인의료 발전을 위한 간병비 급여화 방안 / 이윤환 2017  49
822 9 보건의료 병원 내 의료인 안전 향상을 위한 개념적 틀과 정책적 대응 / 강희정 2019  49
821 9 보건의료 의약품 특허의 강제실시청구에 관한 심사기준 고찰 -인간기능이론을 중심으로 / 민창식 2012  50
820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규범적 통제 방식에 대한 소고(小考) - 독일의 의료보험체계에 비추어 본 임의비급여 통제의 정당성 / 김나경 2009  50
819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2015  50
818 9 보건의료 인터넷 환경에서의 의료광고 규제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황성기 2016  51
817 9 보건의료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조윤미 2018  51
81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을 중심으로 / 홍석한 2014  51
815 9 보건의료 병원 및 관련시설의 특허출원제도 개선방안 / 차성민 2018  51
814 9 보건의료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문상혁 2011  52
813 9 보건의료 소비자건강정보(CHI) 참고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노영희 2013  52
812 9 보건의료 소득수준에 따른 암 검진 이용현황 분석 / 임지혜 2017  52
811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제도 적용을 위한 정책과제 / 정영철 외 2013  52
810 9 보건의료 2013년 주요 의료 판결 분석/이동필 외 2014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