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 글로벌간호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1883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기타서명 Ethical awareness of healthcare providers on responding to pandemic influenza :

              focused on Middle East respiratory symptom
저자 박혜자
형태사항 iv, 56장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옥철
              참고문헌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 글로벌간호전공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초록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을 경험한 이후 국내 감염병 예방관리와 중동호흡기 증후군 대응상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고 있으나 신종 감염병대응에 참여한 의료인의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바, 이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5년 10월 19일부터 10월 29일까지 서울 소재 대형병원 5개 병원 의료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배부한 250부 중 227부(회수율 94.8%)가 본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R version 3.2.1(2015-4-16)을 이용한 Cronbach’s α,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Linear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설문도구는 김정아(2011)의 도구와 국제보건기구의 지침을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신종 감염병 관련 경험적 특성, 신종 감염병에 대한 인식,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인식, 윤리적 의사결정의 5개 범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보통이상의 수준이었다(Cronbach’s α = 0.591, 0.599).
연구대상자는 여성이 188명(82.8%)이었으며, 30대가 119명으로 가장 많았다. 직종은 간호사가 198명(87%)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신종 감염병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신종 감염병의 발생 가능성(3.89점)과 심각도(4.00점)가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의료인 보호를 위한 윤리적 지침 마련(4.02)’과 ‘정보 제공을 받을 권리 보장(4.37)’, ‘보호받을 수 있는 근무조건(4.37점)’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의무적 업무 배정에 대한 불만을 제기할 권리(2.65점)’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윤리인식과 윤리적 의사결정의 차이는 대체로 연령과 경력이 많아질수록 인식의 수준이 높았으며, 소속기관에 따라서 각 윤리적 고려 사항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하게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기관이 메르스 환자를 수용한 경우, ‘보호장비에 의한 보호받는 근무조건(p<0.01)’, ‘정보를 제공 받을 권리(p<0.01)’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의사결정의 예측인자 분석에서 ‘자율성 존중’과 ‘선행의 원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있었으나, 유의수준이 높지 않았으며(p<0.05), ‘악행금지의 원칙’과 ‘정의의 원칙’에 영향 미치는 인자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의료인들은 가까운 미래에 신종 감염병이 발생할 것이며, 심각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반면 현재까지의 대응능력은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정확한 정보와 윤리지침 개발에 대한 요구를 표출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2015년 메르스 이후 감염병 대응에 직접 참여한 의료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신종 감염병 대응 관련 윤리인식과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영향요인을 찾고자 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의료인의 신종 감염병 대응 역량강화 및 관리 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향후, 메르스 환자를 담당하였던 의료인의 경험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도구개발과 신종 감염병 확산 시 의료인의 윤리지침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주제어
신종 감염병, 의료인, 윤리인식, 메르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49 9 보건의료 의료기관 빅데이터 품질관리의 필요성과 사례 분석 /최혜린 외 2017  309
4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19
447 9 보건의료 지능형 헬스케어 플랫폼 산업 및 국제 표준화 동향 / 김양중 2017  60
446 9 보건의료 병원감염관리 표준지침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 이수정 2017  407
445 9 보건의료 임상병리 진단검사에서 사물인터넷(IoT) 융합기술에 대한 최신지견 / 김진희 2017  203
444 9 보건의료 감정노동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허수진 2017  139
443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에 관한 사설과 칼럼의 프레임과 내용 분석 / 지승재 2016  315
442 9 보건의료 결핵환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고찰 / 이세경 2016  263
441 9 보건의료 일본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피해구제제도와 시사점 / 최철호 2016  324
440 9 보건의료 의사 · 한의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검토 -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 김한나 외 2016  278
439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438 9 보건의료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메르스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 이승아 2016  385
» 9 보건의료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 박혜자 2016  610
436 9 보건의료 미디어의 메르스 보도 프레임 비교 / 권신혜 2016  220
435 9 보건의료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 이미나 외 2016  179
434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8
433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1
432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431 9 보건의료 환자 상태 정보를 활용한 메르스 치사율 추정법 / 황선영 외 2016  160
430 9 보건의료 정부의 인수공통감염병 다부처사업 R&D 전략 및 로드맵 / 지영미 2016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