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726169 

의사 · 한의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검토 -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Business Scope of Doctors and Oriental Medicine Doctors : Focusing on the Problems of Medical Device Use of Oriental Medicine Doctors



저자사항 김한나, 김계현
권호사항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4권 제1호, 2016.6, 97-116 (20 pages)DOI :10.17215/kaml.2016.06.24.1.97
간행물명 한국의료법학회지
ISSN 1598-9178
등재정보 KCI등재
간행물유형 학술저널
DBpia주제분류 사회과학
발행기관 한국의료법학회
발행연월 2016.6
DOI 10.17215/kaml.2016.06.24.1.97
URL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726169
자료유형 전자저널
논문작성언어 한국어
파일형식 TextPDF


 
초록
국내의 경우 이원화된 의료체계 하에 있으며 의료인간 업무구분의 문제와 관련하여 이에 대한 명확한 개념규정이 부재하여 지속적으로 업무범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법원에서는 의학과 한의학의 경우 그 원리 및 기초가 상이하며, 진찰방법에도 차이가 있어 이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고, 보건위생상 위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질병을 상당수 치료할 수 있었거나 유용하다고 하더라도 국가에 의해 확인되고 검증되지 않은 의료행위, 특히 면허범위 이외의 의료행위에 대해서는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중 의료기기의 사용과 관련하여 기기 사용 자체보다는 해당 의료기기를 활용하여 시술한 행위의 이론적인 근거와 접근방법이 무엇인지가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처럼 의료기기 사용과 관련하여 그로 인한 위험성 뿐 만 아니라 의료기기로부터 도출된 결과 및 환자 진찰로 수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해석 및 적용하여 질병을 적절하게 진단하고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과 관련하여 이는 보건위생상 위해가 발생할 우려가 거의 없다는 이유로 이를 허용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지만, 진단적 의료행위는 치료적인 부분을 전제하고 있는 것으로 몇몇 의료기기의 안전한 특질로 인해 진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위험 발생이 다소 낮을 뿐이고, 의료행위 전반을 보았을 때 보건 위생상의 위해는 존재하는 것이므로 엄격한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의료종사자의 업무범위 및 의료기기 사용권한에 관한 문제는 의료인의 기본권 침해 문제를 넘어서 국민건강과 관련된 중대한 사안이므로 세부 질환별 위험성 및 해당 치료가 실제 검증된 것에 의한 것인지 등에 대한 실질적인 검토 후 판단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국내 의료체계의 특수성 및 의료인의 업무영역
Ⅲ. 한의사의 현대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규제
Ⅳ. 한의사 현대의료기기 사용 관련 법원의 판단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의료기기, 의료행위, 한방의료행위, 의료인 업무범위, 진단기기, 무면허의료행위, Medical Device, Medical Practice, Oriental Medical Practice, Business Scope of Medical Service Providers, Diagnostic Device, Unlicensed Medical Practic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49 9 보건의료 의료기관 빅데이터 품질관리의 필요성과 사례 분석 /최혜린 외 2017  309
4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20
447 9 보건의료 지능형 헬스케어 플랫폼 산업 및 국제 표준화 동향 / 김양중 2017  60
446 9 보건의료 병원감염관리 표준지침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 이수정 2017  407
445 9 보건의료 임상병리 진단검사에서 사물인터넷(IoT) 융합기술에 대한 최신지견 / 김진희 2017  204
444 9 보건의료 감정노동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허수진 2017  139
443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에 관한 사설과 칼럼의 프레임과 내용 분석 / 지승재 2016  315
442 9 보건의료 결핵환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고찰 / 이세경 2016  263
441 9 보건의료 일본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피해구제제도와 시사점 / 최철호 2016  324
» 9 보건의료 의사 · 한의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검토 -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 김한나 외 2016  278
439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438 9 보건의료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메르스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 이승아 2016  385
437 9 보건의료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 박혜자 2016  610
436 9 보건의료 미디어의 메르스 보도 프레임 비교 / 권신혜 2016  220
435 9 보건의료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 이미나 외 2016  179
434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8
433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1
432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431 9 보건의료 환자 상태 정보를 활용한 메르스 치사율 추정법 / 황선영 외 2016  160
430 9 보건의료 정부의 인수공통감염병 다부처사업 R&D 전략 및 로드맵 / 지영미 2016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