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39405 

환자안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tient Safety Law : Korea, USA and Denmark


 
제어번호 101739405
저자명 김정오(Kim, Jeong-Oh)  ,이미진(Lee, Mi-Jin) 
학술지명 한국의료법학회지
권호사항 Vol.23 No.2 [2015] 
발행처 한국의료법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7-89(23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2015년 메르스 사태는 안전에 대한 정부와 국민의 인식 부족뿐만 아니라 제도 미비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보다 적극적인 입장에서 환자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지 않은 단적인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서구 국가들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태가 발생하곤 한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이 논문에서는 2015년 1월에 제정된 환자안전법과 미국의 환자안전 및 의료의 질향상 법률(PSA)과 덴마크의 환자안전법(APS)을 중심으로 자발적 보고체계에 근거한 환자안전법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 나라들에서 설립하고 있는 환자안전 제도의 특징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환자안전법은 기존 행정 법률과는 현격히 다른 자율성, 기밀성, 면제성, 통합성의 특성이 있다. 환자안전을 위한 입법 방향은 규제일변도나 행정편의주의가 아닌 의료인과 의료기관의 자발적인 보고를 통해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분석해서 의료인과 의료기관에 환류하는 체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체제가 성공적으로 유지 · 운영되기 위해서는 의료인이나 의료기관의 자발적인 보고가 필수적인데, 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보고자와 보고 내용의 기밀성을 보장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보고자를 처벌이나 불이익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보고된 내용을 토대로 재판의 증거나 징계 등으로부터 보호한다는 점에서 면제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동안 환자안전과 의료사고의 예방에 대해서 개별 의료인이나 의료기관에 맡겨져 있었던 기능과 역할을 전국적인 차원으로 확대한다는 점에서 환자안전에 관한 정보수집 및 관리의 통합성을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2015년 제정된 우리나라의 『환자안전법』이 향후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시행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입법이 담고 있는 기본원칙을 얼마나 잘 인지하고 이에 걸맞는 구체적인 제도들을 구축하는가에 달려 있을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환자안전법의 제정 배경 및 추세
III. 환자안전법의 특성
IV. 환자안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들
V. 결론


주제어
환자안전법  ,환자안전  ,자발적 보고체계  ,의료오류  ,patient safety act  ,patient safety  ,voluntary reporting system  ,medical erro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529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분야의 우버”를 통한 왕진(on-demand doctor house call) 서비스 최근 동향 / 임지연 2019  111
528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 권상조 2018  112
527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112
526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시판 후 조사와 리베이트 / 박수헌 2016  112
525 9 보건의료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배그린 2014  112
524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선택의 결정요인 / 이성경, 최지호 2017  112
523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인증제를 경험한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2015  112
522 9 보건의료 한국의 고령화와 의료산업 / 윤재중 2018  112
521 9 보건의료 NFC 기술 기반 병원의료정보 서비스 / 문용일 2016  113
520 9 보건의료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화영 2015  113
519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문세연 외 2017  113
518 9 보건의료 혼인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행태 분석 / 이웅 2018  113
517 9 보건의료 민간의료보험료 가구부담 및 보험금 수령에 따른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분석 / 김유진 2017  114
516 9 보건의료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및 표준화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114
515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권리와 공유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고은경 2017  114
514 9 보건의료 한국형 멜드 시스템 도입 전후의 뇌사자 간이식 성적 비교: 단일기관 연구 / 이지아 외 2018  114
513 9 보건의료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 황임경 2018  114
512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입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구조분석 / 윤기찬, 장한나 2014  115
511 9 보건의료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약사법을 중심으로 / 조영기, 김상태 2011  115
510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정의로운 보건의료체계: 수단과 목적 / 박상혁 2016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