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刑事法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500952 
제목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
영문명Study on Crimes related to selected biological agents
저자이인영(Lee  In-Young)
학술지명刑事法硏究
권호사항Vol.21No.2[2009]
발행처한국형사법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171-194
발행년도2009
KDC364
주제어생물무기, 생물테러, 고위험병원체, 공공위험범, 상해죄, Bioterrorism, Bio Weapon, Selected Agents, Biological Agents, Public hazards crime
초록



The development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such as biologic and chemical weapons have the potential to create mass casualty and public panic. They represent an existing and growing security and safety risk for all the citizens of the world. Biologic agents are more deadly on a compound-per-weight basis than chemical agents. Biological agent attacks have a slower course, but have the greatest potential impact for casualties by weapon size and cost. This research to reflect these situations try to show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the legislative system which set up the management system of infectious substances such as biologic agents. We made an effort to establish some guidelines regarding possession, use and transfer of viruses, bacteria, and toxin, and we tried to show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the legal system which is designed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to support biosafety and biosecurity. Public Health Law and Criminal Law enpowers the government to fulfil its legal and moral obligation to assure the health and safety of the population. In the context of the bioterrorism and hazard selected agents, criminal law can deter the production and use of the biological weapons, potentially need to control the spread of disease and protect public health. Previously we recognized the need to reduce public health hazards and to reduce the threat of social disruption through incidents related to biological agents. Now, we have to make revisions to the Criminal Law for crimes related to selected agents such as biological agents and toxins and draw up necessary legislative measures on the committing mayhem.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고위험병원체 및 생물무기의 정의 및 규제입법 현황
Ⅲ. 외국의 고위험병원체 관련 규제입법
Ⅳ. 우리나라의 고위험병원체 관련 규제입법 필요성과 입법방향성
V. 결 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89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연구개발사업 유형별 경제성평가항목 우선순위 도출 연구 /민희은 외 2017  72
688 9 보건의료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제네릭의약품 시판허가에 미치는 영향/ 박희영 2016  73
687 9 보건의료 암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이인정 2018  73
686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 시행의 의의와 과제 / 이상일 2016  73
685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 혁신시스템에서 규제의 역할과 새로운 방향성/ 이명화 2018  74
684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혜경, 김성수 2019  74
683 9 보건의료 의료인의 거짓 경력에 관한 의료광고에 대한 고찰 / 백경희 2016  75
68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2016  75
681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학과 간 환자안전 교육 / 하성민 외 2019  75
» 9 보건의료 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이인영 2009  76
679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6
678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
677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676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675 9 보건의료 정형화 수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 분류 및 분석 / 이미연 외 2014  76
674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
673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672 9 보건의료 제네릭 의약품 가격이 점유율에 미치는 효과분석 / 신주영, 최상은 2008  77
671 9 보건의료 현행 및 개정안 환자안전법의 자율보고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신재명 외 2018  77
670 9 보건의료 건강정책에 대한 의사들의 정책 정향성 및 책무성: 금연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유현재 2018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