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390110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http://www.riss.kr/link?id=A101390110


 저자명 김은성 

 학술지명 한국위기관리논집

 권호사항 Vol.11 No.10 [2015] 

 발행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발행처 URL http://www.cemtp.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1-109(19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주제어 메르스  , 위험소통  , 결핍모델  , 맥락적 모델  , MERS  , risk communication  , deficit model  , contextual model 

 


판매처 학술교육원 학술교육원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초록

위험소통은 2015년 상반기 발생한 메르스 위기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어왔다. 감염자가 방문한 병원의 이름을 정부가 늦게 공개하는 바람에 메르스가 여러 병원으로 확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중들의 공포가 증폭되었다. 이 글은 이 메르스 위기 당시 정부에 의해 이루어진 위험소통이 실패하게 된 사회적 원인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이 글은 정부의 위험소통전략을 “결핍모델”로 해석하면서 “맥락적 모델”의 관점에서 결핍 모델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한다. 특히 위험소통에서의 과학적 불확실성, 이해관계, 정부의 신뢰, 대중의 정체성 형성 및 낙인효과에 대한 함의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메르스와 같은 신종전염병 관련 위험소통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목차

Abstract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이론적 고찰: 대중들의 위험인식의 두 가지 모델
  • 1. 결핍모델
  • 2. 맥락적 모델
  • III. 메르스 위기의 정책적, 사회적, 기술적 요인
  • 1. 메르스 위기의 정책적 요인
  • 2. 메르스 위기의 사회구조적 요인
  • IV. 메르스 위기에서의 정부의 위험소통
  • 1. 메르스 위험의 축소 발표
  • 2. 언론 창구의 일원화 및 트위터(twitter) 비공개로 전환
  • 3. 병원정보의 늑장공개
  • 4. 정보공개관련 감염병 위기관리메뉴얼의 무시
  • V. 메르스 관련 위험소통의 한계 및 문제점 분석
  • 1. 과학적 불확실성과 위험소통의 지연
  • 2. 공무원/전문가들의 이해관계와 위험소통의 지연
  • 3. 정부에 대한 신뢰부족과 위험소통의 한계
  • 4. 결핍모델 위험소통에서의 대중에 대한 인식
  • 5. 감염자/격리자에 대한 낙인이 위험소통에 미치는 영향
  • VI. 결론: 위험소통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
  • References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769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4
    768 9 보건의료 원격의료 정책현황 비교 분석 연구: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김진숙,오수현 2018  403
    767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치매관리 현황과 치매국가책임제 / 곽경필 2018  403
    766 9 보건의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고진곤 2017  400
    765 9 보건의료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 김민우 2016  396
    764 9 보건의료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신승우 외 2018  393
    763 9 보건의료 독일 의료제도개혁에 관한 소고 / 백승흠 2017  388
    762 9 보건의료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메르스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 이승아 2016  385
    761 9 보건의료 한국형 의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 개발 / 송영진 2016  384
    760 9 보건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임상남 2016  381
    759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 / 오남희 2016  377
    758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757 9 보건의료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 이상영 2017  374
    756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371
    » 9 보건의료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 김은성 2015  370
    754 9 보건의료 세균, 바이러스 및 곰팡이에 대한 병원체 관련 수의학 용어의 우리말 표준화 / 류재면 외 2014  367
    753 9 보건의료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한대성 외 2018  366
    752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로 본 국가재난대응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중대본·중수본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 배재현 2016  365
    75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정책 / 전진한 2017  360
    750 9 보건의료 한국의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창곤 2015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