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390110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http://www.riss.kr/link?id=A101390110


 저자명 김은성 

 학술지명 한국위기관리논집

 권호사항 Vol.11 No.10 [2015] 

 발행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발행처 URL http://www.cemtp.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1-109(19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주제어 메르스  , 위험소통  , 결핍모델  , 맥락적 모델  , MERS  , risk communication  , deficit model  , contextual model 

 


판매처 학술교육원 학술교육원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초록

위험소통은 2015년 상반기 발생한 메르스 위기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어왔다. 감염자가 방문한 병원의 이름을 정부가 늦게 공개하는 바람에 메르스가 여러 병원으로 확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중들의 공포가 증폭되었다. 이 글은 이 메르스 위기 당시 정부에 의해 이루어진 위험소통이 실패하게 된 사회적 원인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이 글은 정부의 위험소통전략을 “결핍모델”로 해석하면서 “맥락적 모델”의 관점에서 결핍 모델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한다. 특히 위험소통에서의 과학적 불확실성, 이해관계, 정부의 신뢰, 대중의 정체성 형성 및 낙인효과에 대한 함의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메르스와 같은 신종전염병 관련 위험소통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목차

Abstract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이론적 고찰: 대중들의 위험인식의 두 가지 모델
  • 1. 결핍모델
  • 2. 맥락적 모델
  • III. 메르스 위기의 정책적, 사회적, 기술적 요인
  • 1. 메르스 위기의 정책적 요인
  • 2. 메르스 위기의 사회구조적 요인
  • IV. 메르스 위기에서의 정부의 위험소통
  • 1. 메르스 위험의 축소 발표
  • 2. 언론 창구의 일원화 및 트위터(twitter) 비공개로 전환
  • 3. 병원정보의 늑장공개
  • 4. 정보공개관련 감염병 위기관리메뉴얼의 무시
  • V. 메르스 관련 위험소통의 한계 및 문제점 분석
  • 1. 과학적 불확실성과 위험소통의 지연
  • 2. 공무원/전문가들의 이해관계와 위험소통의 지연
  • 3. 정부에 대한 신뢰부족과 위험소통의 한계
  • 4. 결핍모델 위험소통에서의 대중에 대한 인식
  • 5. 감염자/격리자에 대한 낙인이 위험소통에 미치는 영향
  • VI. 결론: 위험소통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
  • References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9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2016  694
    48 9 보건의료 병원내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법적 문제 / 김기영 2018  699
    47 9 보건의료 2017년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2017  707
    46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2008  710
    45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 연구 / 김준호 2016  722
    44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4
    43 9 보건의료 의료에 있어서 미성년자의 자기결정권 / 김상찬 2011  752
    42 9 보건의료 블록체인 의료의 법적 문제 / 손경한, 박도윤 2019  773
    41 9 보건의료 위험분담계약제도(risk sharing arrangements) 도입 전후 국내 고가 의약품 급여 접근성 비교 / 김정주 2017  777
    40 9 보건의료 IoT기술 현황과 홈 IoT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홈 IoT서비스 모델 제시 / 김선구 2016  778
    39 9 보건의료 외래환자의 의료기관 내원경로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구자영 2017  782
    38 9 보건의료 연구논문 : 병원의료윤리위원회를 둘러싼 법적문제에 대한 연구 / 이재경 2014  797
    37 9 보건의료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관리 실태 / 정선영 외 2014  806
    36 9 보건의료 치매 관련 사회복지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사회복지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최희경 2016  828
    35 9 보건의료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배상과 보험자의 구상권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구상권을 중심으로 -/노태헌 2015  894
    34 9 보건의료 모자보건법의 모자보건센터와 중앙모자의료센터의 기능 개선방안 / 황종윤 2019  955
    33 9 보건의료 한국, 일본, 대만의 건강보험제도 비교 / 김계현 2017  1003
    32 9 보건의료 사용자의 의료정보 전달력을 향상시킨 국민건강검진 결과지 디자인 개선 / 김예림 외 2018  1042
    31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0
    30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2017  1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