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01117 


국제비교를 통한 산재보험과 건강보험의 수가체계 차등화에 대한 연구: 일본,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영국을 중심으로
=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Fee Schedule of EII and NHI: Focused on Japan, Germany, Austria, Switzerland and UK





 - 저자명 김진수 ( Jin Soo Kim )  ,이진아 ( Jin Ah Lee )  ,이민아 ( Min Ah Lee ) 

 - 학술지명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권호사항 Vol.39 No.- [2014] 

 - 발행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Center For Social Welfare Research Yonsei Universi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1-57(2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등재정보 KCI등재

 - 주제어 산재보험  ,수가체계  ,요양보험  ,행위별수가제  ,총액예산제  ,Employment Injury Insurance  ,fee schedule  ,medical care  ,fee-for-service  ,DRG 

 -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http://www.riss.kr/link?id=A100001117




초록

산재보험과 건강보험이 지급하는 요양급여는 그 동일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목적의 차이에 따라 수가가 다르게 매겨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산재보험의 요양급여 수가는 원칙적으로는 건강보험을 따르게 되어 있는데, 산재보험은 건강보험에서의 종별 가산율에 다시 한 번일정 비율을 가산하거나 입원료 체감률의 미적용 또는 완화된 체감률 적용을 통하여 건강보험 보다 높은 의료비용이 책정되어 있다. 이러한 두 보험제도의 이원화된 수가체계는 산재환자의 특성과 의료기관의 요구가 반영된 결과로 합리적이라고 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사례를 검토하여 두 제도의 요양급여 수가체계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일본의 산재보험수가는 건강보험 진료비에 일괄적으로 20%를 가산하는 단순한 형태로 되어있어 산재보험의 목적 수행과 독자성 확보에 걸림돌이 될 수 있으며, 독일의 건강보험과 산재보험은 각각 독립적인 수가체계가 존재하고 산재근로자의 병원 선택권 제한과 산재직영병원의 높은 질적 수준을 통해 현실적으로 두 제도의 요양급여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스위스의 다원주의적 전통은 산재보험에도 반영되어, 의료공급기관의 다양한 법적 성격과 지역별 차이로 일괄적 수가계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오스트리아는 산재직영병원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산재보험의 목적을 최대한 달성하면서 동시에 재정안정을 이루었고, 산재보험에 수가체계를 두지 않고 소요된 의료비용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영국의 NHS는 사회보험국가들과는 달리 조세로 충당되는 의료시스템을 통하여 산재환자를 전국민 대상의 보건의료서비스체제에 포괄시키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러한 비교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첫째, 두 제도의 목적에 따른 요양급여 성격 차별화 및 수가체계 개선, 둘째, 산재보험 요양급여의 합리화, 셋째, 산재직영병원 질적 수준의 제고 및 산재보험 재정안정화, 넷째, 두 제도의 요양급여 분리 유도 및 총액예산제 도입 노력을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09 9 보건의료 새로운 과학기술도입과 의료기기 해당성 판단 / 배현아 2015  53
808 9 보건의료 해외 전문 인력을 활용한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 방안 / 김형주 2010  53
807 9 보건의료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의료빅데이터 활용방안 설계 / 유예나 외 2015  53
806 9 보건의료 2018년 지방선거 보건·복지 분야 정책제안/조준희 2018  53
805 9 보건의료 새로운 수혈 가이드라인 / 김현옥 2011  53
804 9 보건의료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의 의사결정능력 장애인과 의사결정지원 / 말콤 샤이벤스 2018  53
803 9 보건의료 의료기관에서의 감염예방과 관리 / 정진원 2018  53
802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재현된 의료담론분석 / 황지영 2019  53
801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지원시스템 모델 개발 / 장광수 2013  54
800 9 보건의료 의약품 시판허가심사에 있어 정보공개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김나경 2018  54
799 9 보건의료 의료 빅 데이터의 활용과 인간공학적 의미에 대한 문헌연구 / 박희석 2018  54
798 9 보건의료 성년후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에서 의료행위와 관련한 과제 / 김민중 2009  54
797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활성화를 위한 보험제도의 개선과제 / 김범준 2016  55
796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근거한 의료기관 선택에 관한 연구 / 신혜원 2011  55
795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의료광고 수행특성 / 이동우 2015  55
794 9 보건의료 의료기술평가를 이용한 근거중심 의사결정제도 / 안정훈 2017  55
793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표준에 관한 연구 : 표준화 분석 및 전망 / 김창수 2008  55
792 9 보건의료 일차 의료 기관에서의 체계적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효과 및 임상적 유용성 / 김이형 2015  55
791 9 보건의료 진료비와 책임제한 / 배병일 2017  55
790 9 보건의료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의 사후관리 사업 동의의 결과와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연구 / 김호중 외 2018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