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호스피스간호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033343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 Ethical Dilemmas of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 저자 : 여성희
  • 형태사항 : vi, 79 p. ; 26 cm.
  • 일반주기 :

    국문요약 : p. i-ii.
    Abstract : p. 77-79.
    부록 : 설문지
    지도교수 : 김분한
    참고문헌: p. 66-72.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호스피스간호 전공 2007. 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7
  • 주제어 : 간호학



초록 (Abstract)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환경,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사태, 직면한 환자상태의 불안정 및 위기 상황에서 요구되는 의사결정과 같은 스트레스 원에 계속 노출됨으로써 좌절감과 딜레마를 경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상황 속에서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하면서도 해결책이 없는 간호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직면했을 때 올바른 윤리적 가치관 확립과 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는 무엇입니까?’ 이다.
자료 수집은 2007년 4월 18일에서 5월11일까지였으며, 본 연구의 참여자는 15 병상이상의 중환자실에서 1년 이상 근무하는 간호사로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서면 동의한 1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분석방법을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에서 수집된 원자료로부터 도출한 의미 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은 총 142개였고, 이를 통한 의미 구성(formulating meanings)은 96개였다. 이를 토대로 원자료(Protocols)와의 관련성을 재확인하면서 39개의 주제(themes)를 정하였고, 주제 가운데 통합할 수 있는 것 끼리 모아 13개의 주제모음(them cluster)과 4개의 범주(categories)로 구성하였다.
분석한 결과 구조적 딜레마, 가족으로 인한 갈등, 상황적 딜레마, 삶과 죽음의 딜레마로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구조적 딜레마’ 범주는 <의료진과의 갈등을 느낌>, <간호사의 모호한 역할 에 갈등을 느낌>, <책임소재에 대해 갈등을 느낌> 3 가지 주제모음을 포함한다.
‘가족으로 인한 갈등‘ 범주는 <가족과의 관계성에서 갈등함>, <가족은 중환자실에서의 연명치료에 부담을 느낌>, <가족은 사전의사결정을 하기 어려워 함>, <가족의 입장을 고려함>의 4 가지 주제모음을 포함한다.
‘상황적 딜레마’ 범주는 <간호 업무에 어려움을 느낌>, <가족의 사전의사결정시 보조 역할을 함>, <중환자실 상황에서 갈등을 느낌>의 3가지 주제모음을 포함한다.
‘삶과 죽음의 딜레마’ 범주는 <의미 없는 연명치료에 양가감정을 느낌>, <자신의 죽음을 준비함>, <최선의 노력을 다하려 함>, <생명 자체가 중요함>의 4가지 주제모음을 포함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의 현상을 이해하고 이 현상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신체적, 대처반응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현상에서 윤리적 가치관 확립과 윤리적 딜레마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윤리적 딜레마 현상에서 명확한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간호윤리 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병원 내 간호사 상담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윤리적 의사결정 시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중환자실 특성에 맞는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이 개발되어야 하고, 병원 윤리위원회의 간호 영역에서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연구문제 = 4

    4. 용어정의 = 4

    Ⅱ. 문헌고찰 = 5

    1. 윤리적 딜레마 = 5

    2. 간호전문직과 윤리적 딜레마 = 10

    Ⅲ. 연구 방법 = 17

    1. 연구 설계 = 17

    2. 연구 대상 = 17

    3. 연구 질문 = 17

    4. 자료수집 방법 = 18

    5.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사항 = 19

    6. 연구자의 준비 = 19

    7. 자료분석 방법 = 20

    Ⅳ. 연구 결과 = 22

    1.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 22

    2. 분석 결과 = 23

    3. 통합된 구조적 진술 = 46

    Ⅴ. 논의 = 51

    Ⅵ.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6

    ABSTRACT = 7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849 9 보건의료 간호중재분류체계(NIC)에 근거한 내·외과계 간호단위의 간호중재 수행 및 건강보험수가 항목 분석 / 박옥엽 2005  594
    848 9 보건의료 의약품 안전정보 관리방안 / 정영철 2005  46
    847 9 보건의료 보건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윤리 자문가를 중심으로 / 전효숙 2006  1959
    846 9 보건의료 Equity and Population Health: Toward a Broader Bioethics Agenda 2006  69
    845 9 보건의료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의 국내 발생 및 실험실 감시 현황 / 지영미 2006  622
    844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의 병원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의료광고 시사점을 중심으로 / 유승엽, 김은희 2006  231
    843 9 보건의료 병원에 있어 환자중심의 가치실현을 위한 전략경영의 탐색 / 황진수, 유병남 2006  227
    842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의 허가과정 / 유무영 2006  136
    841 9 보건의료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김현철 2006  110
    » 9 보건의료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 여성희 2007  2889
    839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의 발전과정과 법정책적 과제 / 조형원 2007  155
    838 9 보건의료 환자중심의 가치실현을 위한 전략요인과 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팀제 도입을 중심으로 / 유붕식, 유병남 2007  140
    837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 신진경 2007  15314
    836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장해순 2007  108
    835 9 보건의료 독일에서 동종의약품의 허가 규정 / 김은미, 김형중, 조정희 2007  315
    834 9 보건의료 시험을 위한 실시의 특허 침해 예외 범위 :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를 위한 실험을 중심으로 검토 / 김학선 2007  339
    833 9 보건의료 에이즈 예방법상 감염인의 인권침해요인과 인권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양충모 외 2007  159
    832 9 보건의료 일개 응급의료센터에서 전문의에 의한 fast track 운영의 효과 / 정진희, 배현아 2008  148
    831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2008  129
    830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2008  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