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병원경영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397536 

우리나라 노인의 비의도적 손상에 관한 연구


  • 기타서명 :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older man in Korea

  • 저자 : 차승현
  • 형태사항 : v, 32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손명세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병원경영학과 2011.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1
  • 주제어 : 비의도적 손상, 손상 발생률, 노인




초록 ( Abstract )

  • 선진국의 손상의 연구는 활발하여, 연령에 대한 손상발생과 사회경제적인 요인 간에 관계를 규명하여,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적으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노...
  • 선진국의 손상의 연구는 활발하여, 연령에 대한 손상발생과 사회경제적인 요인 간에 관계를 규명하여,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적으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노인 손상은 바로 사망 또는 사회활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부상을 야기하는 비의도적인 손상에 대하여 예방 대책을 세우는 것이 사회의 경제적 손실 및 사회문제에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다.이 연구는 손상의 위험도가 높은 우리나라 보건환경에서 65세 이상 노인의 손상발생률과 관련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자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가설 1. 연령이 높은 그룹일수록,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보다 비의도적인 손상발생률이 더 높을 것이다.가설 2. 소재지, 소득, 교육수준에 따른 손상발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가설 3. 비만, 음주, 걷는 문제 등 개인건강요인에 따른 손상발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위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 자료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이며, 65세 이상 노인을 추출하였고,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개인건강관련 요인이며, 사회경제적 요인은 연령, 주거형태, 소재지, 결혼상태, 직업, 가구소득이며, 개인건강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걷는 문제이었고, 종속변수는 지난 1년간 손상발생 여부이었으며 손상발생률과 손상관련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성별 손상 발생률은 남성이 63/1,000명이었고, 여성은 79/1,000명이었다.남성은 연령 65~69세 그룹과 직업에서 사무직 그룹이 각각 79/1,000명으로 가장 높은 손상발생률로 조사 되었고, 개인건강관련 변수에서는 체질량지수의 비만그룹과 평소음주여부에서 1번 이상 그룹이 각각 78/1,000명으로 가장 높았다. 연령변수에서 75세 이상 그룹에 비해 70~74그룹이 2.0배 높았고 65~69세 그룹이 2.8배 높았으며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개인건강요인에 따른 손상발생은 남성 노인에서 걷는 문제가 전혀 없는 그룹에 비해 조금 있는 그룹이 1.7배로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성은 소재지, 직업, 가구소득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소득 200만원 이상 그룹에 비해 150~199만원 그룹이 2.1배 높은 손상발생률로 분석되었다.위 결과는 중국에서 2010년 제시된 손상발생률과 비교하여 2배가 되는 것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손상발생이 적지 않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미국이나 스웨덴에서는 노인손상과 관련하여 원인에 대한 연구와 10년 이상 국가데이터로서 손상발생을 감시하는 체계를 갖추었고, 병원이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더 정확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노인손상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연구로 발전하여 국가적으로 예산을 투자하여 예방이 필요하다는 세부적인 데이터를 산출하고 있었다.외국에서 노인의 손상관련 연구내용을 비롯하여 가설을 제시하였으나, 일부분야에서는 상응한 결과로 분석되었으며, 우리나라도 세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외국의 손상예방에 대한 연구와 정책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른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였고, 이에 대한 노인 건강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시기에서 노인 손상발생과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 제시된 사회경제적 요인과 여성노인에 대하여는 특별한 대비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869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807
    868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511
    867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922
    866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 신진경 2007  15317
    865 9 보건의료 3D 프린터를 이용한 맞춤형 의료기기의 제조 및 품질관리 기법/송유빈 2016  13028
    864 9 보건의료 소아청소년 환자 진료에서의 윤리적 고려/박준동 2015  6544
    863 9 보건의료 The risks of risk aversion in drug regulation 2013  6004
    862 9 보건의료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심사제도에 관한 고찰 / 송태은 2009  4449
    861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정책적 개선방안 2017  3580
    860 9 보건의료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 여성희 2007  2893
    859 9 보건의료 정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방안의 쟁점과 과제/김계현, 김한나 2018  2744
    858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조직과 기능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김중호, 한성숙, 엄영란, 구인회, 서철, 홍석영 2004  2207
    857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2000
    856 9 보건의료 보건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윤리 자문가를 중심으로 / 전효숙 2006  1960
    855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현희 2012  1755
    854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기대 역할에 기반 한 윤리 딜레마 해결 모형 / 안유정 2002  1675
    853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역할의 활성화 방안 탐색 연구 / 엄영란 2003  1630
    852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상 임의비급여의 개선방안 연구 / 이인영 2016  1557
    851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적 정당성과 미국 각 주의 원격의료제도의헌법적 근거에 관한 연구 / 최용전 2019  1498
    850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2002  1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