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정책연구 Vol.79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26265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Medical Direction and Unlicensed Medical Practice in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ystem





초록 ( Abstract )

  • 의료법은 제27조에 의해 의료인이 아니면 누구든지 의료행위를 할 수 없으며 의료인도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를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의 ...
  • 의료법은 제27조에 의해 의료인이 아니면 누구든지 의료행위를 할 수 없으며 의료인도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를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응급의료법에서는 응급구조사 제도를 두고 있다. 응급구조사는 위 의료법 제27조 규정에도 불구하고, 응급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응급환자에 대하여 상담ㆍ구조 및 이송업무를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범위 안에서 행하며, 이 때 응급구조사는 의사로부터 구체적인 지시를 받아야 한다. 응급의료법 상의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는 매우 제한되어 있어 현장에 의료진이 입회할 수 없는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의 특성과 긴급성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에게 필요한 충분한 응급처치가 제공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응급구조사의 무면허의료행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의료지도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의료지도를 현실화 할 수 있는 법정책적인 제도를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응급구조사의 업무 범위를 넘어선 중환자용 구급차 도입과 전문응급처치 시행에 대하여 긴급피난이나 기존 판례의 입장과 같이 ‘특별한 사정’ 을 고려하여 위법성이 조각되는지 여부가 판단되어야 한다.





    목차 ( Index )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의료지도

    Ⅲ. 응급구조사의 무면허 의료행위와 의료지도

    Ⅳ. 의료지도자와 피의료지도자의 법률적 관계와 책임

    Ⅴ.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749 9 보건의료 Evaluating the Legitimacy of Contemporary Legal Strategies for Obesity 2015  63
    748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747 9 보건의료 입원환자의 위급 상황 시 위치추적이 가능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나한범, 장영주 2015  63
    746 9 보건의료 고령사회에 대응한 보건의료체계 개편의 시급성 / 박은철 2018  63
    745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김유호 2018  63
    744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정당화와 면책가능성 / 임상규 2019  63
    743 9 보건의료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김명희 2014  64
    742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전달기법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2014  64
    741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전진아 외 2018  64
    740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2018  64
    739 9 보건의료 의약품 관리정책과 소비자권익 확보방안 - 주사제 관리체계의 개선 - / 문상혁 2018  64
    738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2011  65
    737 9 보건의료 공공기관 생성 건강정보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일개 공공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 이도화 2015  65
    736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에서 상용치료원의 유무가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윤완중 2014  65
    735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5
    734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 동향 / 이선원 외 2011  65
    733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 정순형 2019  65
    732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에 대한 최근 논의 / 박대웅, 이주하 2016  66
    731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가 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한수연 2009  66
    730 9 보건의료 국민건강과 올바른 의료제도 확립을 위한 2016년 보건의료 주요 현안 2016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