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2 No.1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531809 

‘기본법’으로서의 보건의료기본법 = Legal Characters and Functions of the Framework Act on Health and Medical Services




초록 ( Abstract )

  • 이 연구는 보건의료기본법이 제정되어 시행된 지 10여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보건의료기본법 체계기획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해보고 앞으로의 전망을 논의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
  • 이 연구는 보건의료기본법이 제정되어 시행된 지 10여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보건의료기본법 체계기획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해보고 앞으로의 전망을 논의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보건의료기본법의 제정구상과 관련하여, 우선 정책적 측면에서 입법자는 보건의료 관련 개별 법률을 ‘전체’ 보건의료‘체계’ 내지 보건의료‘정책’의 관점에서 조망하여야 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규범적인 측면에서는 보건의료와 관련된 모든 개별 법률들을 하나의 독자적인 ‘입법계열’, 이른바 ‘보건의료법체계’로 정립하고자 하는 의도가 보건의료기본법 제정을 통하여 표출되었다고 본다.
    이와 같은 보건의료기본법 기획이 단순한 상징적인 의미를 넘어서 보다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한다면, 보건의료기본법을 매개로 하는 보건의료법체계가 동태적이고 가변적인 보건의료정책을 규범적으로 통제하는 기능을 구상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보건의료기본법의 제정 당시 입법자는 그 정책적 의의에 치중한 나머지 그 규범적 의의에 대해서는 충분한 이론적 성찰을 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보건의료기본법은 보건의료 관련 개별 법률에 통관하여 적용되는 입법적 또는 해석적 지도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고, 보건의료기본법은 결국 ‘상징적 입법(symbolische Gesetzgebung)’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결론적으로 보건의료기본법이 법규범인 이상 그 규범적인 의미를 제고하려는 노력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보건의료기본법은 상징적 입법으로서의 위치를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다. 보건의료기본법의 규범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기본법을 개별 법률들에 대하여 통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총론적 규정으로 재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기본법’의 의의와 보건의료기본법의 ‘기본법성’

    Ⅲ. 보건의료기본법의 제정구상

    Ⅳ. 보건의료기본법의 법체계적 지위, 효력 및 기능적 한계

    Ⅴ. 맺음말 : 보건의료기본법에 대한 전망과 향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69 9 보건의료 감염병으로 인한 격리조치에 관한 소고/박정일 2015  266
    668 9 보건의료 국내 질병 관리 및 건강불평등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2018  266
    667 9 보건의료 의약품 자료 보호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박현정 2017  265
    666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정희자 외 2017  265
    665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2015년 사태와 관련된 의료법령의 분석과 입법론 - 「의료법」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쟁점 조항을 중심으로 -/김천수 2015  264
    664 9 보건의료 의사의 불성실한 진료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전병남 2014  264
    663 9 보건의료 미용성형의료 - 우리 판결례와 독일 판결례의 비교·분석적 소고 -/안법영 2015  263
    662 9 보건의료 결핵환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고찰 / 이세경 2016  263
    661 9 보건의료 위험의 지구화, 지구화의 위험 - 한국의 '광우병' 논쟁 연구 / 하대청 2012  262
    660 9 보건의료 약사법상 의약품 동정적 사용제도 / 강한철 2013  262
    659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연, 배현아 2013  261
    658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 김중기 2016  261
    657 9 보건의료 서울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건강관리와 의료이용 실태 / 손창우 2018  261
    » 9 보건의료 ‘기본법’으로서의 보건의료기본법 : 제정구상, 체계적 지위 그리고 기능적 한계 / 박지용 2014  260
    655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에서의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건의료 정책 연구 : 노인 인구 치매예측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 김희철 2018  260
    654 9 보건의료 일 지역주민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및 정신보건사업 요구도 조사 / 정정임 2019  259
    653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 보험약가결정: 문제점과 시사점 / 권혜영 2010  258
    652 9 보건의료 생활화학물질 노출에 따른 국민건강 문제에 대한 보건학적 고찰 2017  255
    651 9 보건의료 국산의약품의 해외 시장진출을 위한 인·허가제도 연구 - 인도네시아 / 손지영 외 2017  255
    650 9 보건의료 암 환자의 재활치료 활성화를 위한 수가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김준성 2017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