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마르크스주의 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80492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Industrialized Medicine, Commercialized Health and Marxism

  • 저자[authors] 이상윤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마르크스주의 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5No.2[2018]
  • 발행처[publisher]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0-6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국문 초록[abstracts]
자본주의의 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자본주의의 병적 징후들’이 여러 가지 형태로나타나고 있다.  이를 마르크스 방법론에 따라 분석하여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운동으로 만들어 가는 작업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이 글에서는 자본주의 모순의 결과로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의료, 건강 문제를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는 이론적 작업의 일부를 소개했다.  더불어 최근 ‘4차 산업혁명’ 레토릭 속에서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의 구조를 정치경제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시론적  논의를  진행했다.  마르크스주의는 필요에 따라 분배되는 것이 당연한 의료조차도 상품화해 시장논리에 맡기는 자본주의 의료의 비윤리성과 비효율성을 날카롭게 분석해 의료서비스 상업화,  시장화,  산업화 경향에 맞서왔다.  건강/생명 산업은 건강을 지속적으로상품화함으로써 이윤을 강탈해가고 있다. 마르크스주의는 이러한 강탈 과정의 비합리성과  비효율성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비판을  해오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는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의료 및 건강의 상품화, 시장화, 산업화 맥락으로 분석할 수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 육성 프로젝트는 제한 없는 욕망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지속적으로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는 건강/생명 산업이 신자유주의정치 세력과 공모해 이윤을 창출하고 이니셔티브를 유지하려고 진행하는 신자유주의-건강/생명  산업  재활성화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As global crisis deepens, the ‘morbid symptoms’ of capitalism appear as various phenomena. It is more urgent than ever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Marx’s methodology, to find solutions and to create social movements in  response.  This  article  analyzes  Industrialization  of  medicine  and commercialization  of  health  resulting  from  capitalist  contradictions  from  a Marxist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discusses  the  structure  of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which has been widely recognized worldwide in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hetoric.  Social  movements  inspired  by  Marxism  have  resisted  the  tendency  to commercialize, marketize, and industrialize healthcare services by analyzing the unethical practices, irrationality and inefficiency of capitalist medicine. The health/life industry has conducted accumulation by dispossession by continuing to commercialize health.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in South Korea, can be analyzed from a Marxist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medical and health commercialization, market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aims to create a new market by creating unlimited desires  for  better  health.  The  health/life  industry  is  collaborating  with neo-liberal political forces to create profit and revitalize neo-liberal ideolog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49 9 보건의료 4대 중증질환 보장성 정책이 환자의 의료이용과 재난적 의료비에 미친 영향 / 이현옥 2018  184
5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문재활치료 건강보험수가 현황 분석 : ICF 모델을 중심으로 / 차유진 외 2017  183
547 9 보건의료 건강보험수가 결정 체계 분석과 개선 방안 : 전문가의견 조사를 중심으로 / 정숙경 2011  183
546 9 보건의료 기타 치매의 임상적 특징 / 전진숙 2000  183
545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규제완화 논의에 대한 소고 -미국, 캐나다 및 유럽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한철 2013  182
544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이용과 한계 ― 대만판례 TAHR vs NHIA (2012)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수 2017  182
543 9 보건의료 질병의 사회적 구성과 의학 지식의 변화 요인에 대한 연구 / 백영경 2018  182
542 9 보건의료 한국 고령 환자 전환기 의료 관리체계 개선 방안 : 미국, 호주 비교법 제도 연구 / 백상숙 2018  182
541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0
539 9 보건의료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 이미나 외 2016  179
538 9 보건의료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 김선욱 외 2014  179
537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의 현황 및 향후 개선 과제 / 송영신 2017  178
536 9 보건의료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 노정화 2019  178
535 9 보건의료 감염환자 검사자의 안전권,건강권,의료환경권 / 박상웅 2017  177
534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강소기업 성장사례(이스라엘 Teva社) 분석 및 시사점 / 송용주 2016  176
533 9 보건의료 근거기반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수용개작 및 적용효과 / 김유정 2019  176
532 9 보건의료 의료광고를 바라보는 방향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비자의 백신 예방 접종 의도에 미치는 효과 / 윤도연 2016  175
531 9 보건의료 여성에 대한 제도적, 구조적 폭력인 산과(産科) 의료폭력(obstetric violence)개념의 부상 / 윤지영 2017  175
530 9 보건의료 에이즈(AIDS) 환자의 인권에 대한 한국교회 지도자의 윤리의식연구 : 생명의료윤리 입장에서 / 이용석 1999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