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대학원 의료경영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78513 
기업의 CSR 활동이 조직원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 Influences of companies’ CSR activities on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ed on pharmaceutical companies

  • 저자[authors] 조두현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53 p.p. 26cm
  • 일반주기명[Note]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지도교수:김상만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대학원 의료경영학과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제약회사,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이미지, 반 기업 정서, 조직몰입, 이직의도
  • 소장기관[Holding]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06)

초록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종업원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미지와 반 기업 정서를 매개요인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제약산업은 국가적으로도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국민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산업군이기에 국가의 철저한 관리 속에서 운영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신약개발을 위해 많은 기업들이 노력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신약을 개발하는데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로 한다. 그로 인해 주로 제네릭(Generic) 위주의 제품군의 영업 방식과 각종 리베이트의 부작용과 그로 인한 기업이미지 실추로 인한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최근 많은 제약 기업들은 기업이미지 쇄신 및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반기업 정서에 대한 회복을 위해 사회적 책임 활동을 연계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내제약 회사 8곳과 다국적 회사 6곳의 임직원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행하였다. 응답에 오류가 발생한 설문지를 제하고 18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다중 항목으로 구성된 연구개념 등에 대한 단일 차원성 확인을 위하여 AMOS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 및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하위요인 4가지와 기업이미지, 반 기업 정서, 조직몰입, 이직의도 등 8개의 요인을 구조 방정식 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사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및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경제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은 기업이미지를 통해 이직의도나 조직 몰입에도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또한 법적책임의 경우 반 기업 정서를 통해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직접적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약 기업의 CSR 활동의 개별 하위 요인은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목차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제 2절 연구의 목적 2
제 3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
제 2장 이론적 배경 5
제 1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5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개념 5
2.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참여에 대한 기존 연구 6
제 2절 기업이미지 7
1. 기업이미지의 개념 7
2. 기업이미지의 구성요소 7
제 3절 반 기업 정서 8
1. 반 기업 정서의 정의 8
2. 사회공헌활동과 반 기업 정서 9
제 4절 이직의도· 10
1. 이직의도의 개념 10
2. 이직의도의 선행연구 11
제 5절 조직 몰입 12
1. 조직몰입의 개념 12
2. 조직몰입의 유형 12
3. 조직몰입의 선행연구 13
제 3장 연구 모형과 가설의 설정 14
제 1절 연구모형 14
제 2절 연구가설의 설정 15
1. CSR과 기업이미지와의 관계 15
2. CSR과 반 기업 정서와의 관계 16
3. 기업이미지 및 반 기업 정서,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16
제 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18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
2. 기업이미지 20
3. 반 기업 정서 21
4. 이직의도 22
5. 조직몰입 23
제 4장 실증분석 결과 25
제 1절 표본의 특성 25
제 2절 예비분석 27
제 3절 주분석 30
1. 연구모형 검증 30
2. 매개 효과 검증 32
제 5장 결론 34
제 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34
제 2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35
참고문헌 36
국문초록 44
Abstract 46
설문지 4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68 9 보건의료 의료사고의 안티 포렌식 범죄 기법의 대응에 관한 연구 / 엄민수 2018  418
667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로 전원되는 노인환자의 의료정보 공유정도와 건강결과 / 김형준 2019  97
666 9 보건의료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감과 대처방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허수빈 2019  98
665 9 보건의료 일 지역주민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및 정신보건사업 요구도 조사 / 정정임 2019  259
664 9 보건의료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 김지은 2019  289
663 9 보건의료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이 의약품 약가에 미치는 영향 / 구하영 2019  135
662 9 보건의료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 진단법의 최신 경향 및 고찰 / 이지혜 2019  474
661 9 보건의료 환자 맞춤형 의약품 투약량 적정성 제공 시스템 / 김정훈 2019  128
660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의 국제의료서비스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홍혜정 2019  135
659 9 보건의료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가족탄력성과의 관계 / 조미영 2019  195
658 9 보건의료 보장성 강화정책에 따른 15세 이하 입원 아동의 의료이용분석 / 김수연 2019  87
657 9 보건의료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여성근로자의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김은혜 2019  95
656 9 보건의료 의료기기 정보검색 웹사이트 개발 2019  271
655 9 보건의료 감정노동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허수진 2017  139
654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표시 및 관리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박선정 2019  267
653 9 보건의료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 노정화 2019  178
652 9 보건의료 근거기반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수용개작 및 적용효과 / 김유정 2019  175
651 9 보건의료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 김미영 2019  62
» 9 보건의료 기업의 CSR 활동이 조직원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 조두현 2019  93
649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차이 연구 / 안세은 2019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