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54527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 Post-traumatic Growth due to Emotional Approach Coping, Emotional Control, and Inner Strength of Breast Cancer Survivors

  • 저자[authors] 김미영

  •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65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상희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대구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Breast cancer survivors,Post-traumatic growth,Emotional approach coping,Emotional control,Inner strength

  • 소장기관[Holding]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222003)



초록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을 확인하고,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광역시 소재의 유방암 자조 단체 회원인 유방암 생존자 170명을 선정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는 총점 64점 만점에 44.58±7.16점, 정서 억제는 84점 만점에 54.48±11.34점, 내면의 힘은 135점 만점에 97.62±11.42점, 외상 후 성장은 92점 만점에 61.38±14.72점이었다. 
2.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은 교육 수준(F=4.82, p=.009), 종교(t=3.90, p<.001), 지지 체계(F=2.46, p=.036), 방사선 치료 경험(t=2.30, p=.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은 정서 접근적 대처(r=.68, p<.001) 및 내면의 힘(r=.58,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정서 억제(r=-.21, p=.008)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정서 접근적 대처(β=.54, p<.001), 내면의 힘(β=.27 p<.001), 지지 체계(β=-.16, p=.004)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설명력은 52.8%(p<.001) 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및 내면의 힘을 이해하고, 정서 접근적 대처와 내면의 힘이 외상 후 성장의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정서 접근적 대처와 내면의 힘을 강화시키는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용어 정의 4
Ⅱ. 문헌고찰 6
1.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 6
2.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9
3.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억제 11
4. 유방암 생존자 내면의 힘 13
Ⅲ. 연구방법 16
1. 연구 설계 16
2. 연구 대상 16
3. 연구 도구 17
4. 자료 수집 19
5. 자료 분석 20
6. 윤리적 고려 20
Ⅳ. 연구결과 21
1.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 21
2. 대상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 및 외상 후 성장의 정도 23
3.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의 차이 25
4. 대상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 및 외상 후 성장의 상관관계 27
5. 대상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및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28
Ⅴ. 논의 30
1. 대상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 및 외상 후 성장 30
2. 대상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및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33
Ⅵ. 결론 및 제언 36
참고문헌 38
부록 51
영문초록 61
국문초록 6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9 9 보건의료 병원 전 심정지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서 소생술 중단 기준 결정을 위한 분석 / 강현주, 정진희, 어은경, 배현아 2010  341
128 9 보건의료 현대의학의 '개별 맞춤 의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임영채 2012  341
127 9 보건의료 개인정보보호법상 의료정보 적용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2016  344
126 9 보건의료 의료 관련 감염의 예방과 치료 / 우준희, 장미수 2016  344
125 9 보건의료 빅 데이터 기반 질병 키워드 추천 시스템 / 강희범 2017  346
124 9 보건의료 한국의 응급의료서비스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 재난응급의료체계의 현황을 중심으로 / 김유호 2011  350
123 9 보건의료 건강보험 수가정책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백현영 2014  350
122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의료비에 미치는 효과와 노인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2017  350
121 9 보건의료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졸피뎀 약물 유해반응 실마리 정보 검출 / 한준우 외 2018  350
120 9 보건의료 한국의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창곤 2015  356
119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정책 / 전진한 2017  360
118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로 본 국가재난대응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중대본·중수본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 배재현 2016  365
117 9 보건의료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한대성 외 2018  366
116 9 보건의료 세균, 바이러스 및 곰팡이에 대한 병원체 관련 수의학 용어의 우리말 표준화 / 류재면 외 2014  367
115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369
114 9 보건의료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 김은성 2015  370
113 9 보건의료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 이상영 2017  374
112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111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 / 오남희 2016  377
110 9 보건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임상남 2016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