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59381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General hospital medical professional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 저자[authors] 노정화

  • 발행사항 부산 :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54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최순옥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주제어 : 의료종사자,의료기관인증제 인식,표준주의,인지도,수행도

  • 소장기관[Holding] 부산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221037)

  • UCI식별코드 I804:21037-200000176263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General hospital medical professional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Noh Jung-Wha
Department of Adult Nursing 
Gr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Advisor : Professor Choi, Soon-Ock Ph.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of medical professionals in general hospitals and their relationship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For data collection, we obtained an approval from the C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nd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medical professionals in on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B City between November 29, 2018 and December 4, 2018. 222 questionnaires that were returned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we used a tool developed by Han and Kim (2008), Bae (2009), and Lee and colleagues (2010)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Choi (2011). To measur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e used a tool developed by Askarian and colleagues (2004), adapted by Kim (2008),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Oh (2018). For data analysis, SPSS/WIN 20.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ies and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our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mean level of the subject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was 3.26±0.57 out of a maximum score of 5. Subareas were in the order of awareness (3.50±0.68), perception of effete of quality increase (3.30±0.65), management progress (3.25±0.58), and team satisfaction (2.98±074).
2. The mean level of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was 4.69±0.38 out of a maximum score of 5. Subareas were in the order of respiratory etiquette (4.74±0.42), safety equipment (4.70±0.41), washing hands (4.69±0.39), linen and environment (4.65±0.54), and sharp tools (4.64±0.53).
3. The mean level of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as 4.42±0.43 out of a maximum score of 5. Subareas were in the order of respiratory etiquette (4.60±0.50), linen and environment (4.46±0.63), washing hands (4.43±0.48), sharp tools (4.39±0.61), and safety equipment (4.31±0.59).
4. By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the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F=2.90, p=.036), marital status (t=-2.35, p=.019), and education level (F=3.39, p=.036). Subjects who were married and were attending or have graduated from college had higher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t=-2.30, p=.022), marital status (t=-2.93, p=.004), occupational category (t=4.17, p=.017), and number of infection control training (t=5.57, p=.004). Subjects who were female and married scored higher, nurses scored higher than doctors, and 3-4 times of infection control training showed higher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t=2.72, p=.046), marital status (t=-2.57, p=.011), and number of infection control training (t=3.28, p=.040)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For age, subjects who were in their 50s or older or were married had high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5.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found that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and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72, p=<.001). 
Combining the results,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hospital medical professional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t is thought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fection control training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medical professionals. 
Key words : medical professionals, percep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standard precautions, awareness, performance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간호학과 성인간호 전공 노 정 화
지도교수 최 순 옥 
본 연구는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과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 정도와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감염관리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C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에 승인을 받은 후 B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의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2018년 11월 29일부터 2018년 12월 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222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측정도구는 한우석, 김재열(2008), 배정임(2009), 이상완 등(2010)이 개발한 도구를 최연순(2011)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측정도구는 Askarian 등(2004)의 도구를 김양수(2008)가 번안하고 오지은(2018)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3.26±0.57점이었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인지도 3.50±0.68점, 질 향상 효과 인식 3.30±0.65점, 운영성과 3.25±0.58점, 내부구성원만족 2.98±074점 순이었다.
2. 표준주의 인지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69±0.38점이었다. 하위 영역별 점수를 살펴보면 호흡기 에티켓 4.74±0.42점, 보호장구 4.70±0.41점, 손씻기 4.69±0.39점, 린넨 및 환경 4.65±0.54점, 날카로운 도구 4.64±0.53점 순이었다.
3. 표준주의 수행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42±0.43점이었다. 하위 영역별 점수를 살펴보면 호흡기 에티켓 4.60±0.50점, 린넨 및 환경 4.46±0.63점, 손씻기 4.43±0.48점, 날카로운 도구 4.39±0.61점, 보호장구 4.31±0.59점 순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관인증제 인식은 연령(F=2.90, p=.036), 결혼유무(t=-2.35, p=.019), 학력(F=3.39, p=.03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기혼인 경우와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인 경우 의료기관인증제 인식이 높았다. 표준주의 인지도는 성별(t=-2.30, p=.022), 결혼상태(t=-2.93, p=.004), 직종(t=4.17, p=.017), 감염관리 교육 횟수(t=5.57, p=.0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자와 기혼인 경우가 높았고 직종은 간호사가 의사보다 높았고, 감염관리 교육 횟수는 3∼4회가 표준주의 인지도가 높았다. 표준주의 수행도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t=2.72, p=.046), 결혼상태(t=-2.57, p=.011), 감염관리 교육 횟수(t=3.28, p=.04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은 50대 이상 높았고, 기혼인 경우 표준주의 수행도가 높았다. 
5. 대상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과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표준주의 인지도와 표준주의 수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72,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의료종사자의 표준주의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염관리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의료종사자,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수행도

목차[Table of content]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정의 4
    • Ⅱ. 문헌고찰 6
    • 1.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6
    • 2.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10
    • Ⅲ. 연구방법 13
    • 1. 연구설계 13
    • 2. 연구대상 13
    • 3.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13
    • 4. 연구도구 14
    • 5. 자료분석 15
    • 6. 윤리적 고려 16
    • 7 연구의 제한점 16
    • Ⅳ. 연구결과 17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 2. 대상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19
    • 3. 대상자의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21
    •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의 차이 24
    • 5. 대상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의 상관관계 28
    • Ⅴ. 논의 29
    • Ⅵ. 결론 및 제언 34
    • 1. 결론 34
    • 2. 제언 37
    • 참고문헌 38
    • 부록
    • 1. 설문지 45
    • 2. 심의결과통보서 50
    • 3. Abstract 5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849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상 보험료부과체계에 관한 법적 고찰 -지역가입자 생활수준 및 경제활동 참가율 부과기준 중 성과 연령을 중심으로 -/송기민, 정정일 2014  1349
848 9 보건의료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 이소리 2018  1200
847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홍광, 이미숙 2019  1197
846 9 보건의료 신종인수공통전염병의 출현 전망과 대응 전략 / 김우주 2016  1174
845 9 보건의료 국내 제약 기업 신약 파이프라인의 임상시험 단계별 개발 기간 분석 / 김잔디 2018  1158
844 9 보건의료 의약품 중 금속불순물 관리의 국제조화 : ICH Q3D 가이드라인 / 김은경 2015  1153
843 9 보건의료 알츠하이머 치매 약물치료의 현황과 미래 / 김성윤 2018  1146
842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질적 분석 / 박영희, 이용재 2017  1134
841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2019  1109
840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2017  1101
839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0
838 9 보건의료 사용자의 의료정보 전달력을 향상시킨 국민건강검진 결과지 디자인 개선 / 김예림 외 2018  1042
837 9 보건의료 한국, 일본, 대만의 건강보험제도 비교 / 김계현 2017  1008
836 9 보건의료 모자보건법의 모자보건센터와 중앙모자의료센터의 기능 개선방안 / 황종윤 2019  955
835 9 보건의료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배상과 보험자의 구상권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구상권을 중심으로 -/노태헌 2015  894
834 9 보건의료 치매 관련 사회복지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사회복지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최희경 2016  832
833 9 보건의료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관리 실태 / 정선영 외 2014  809
832 9 보건의료 연구논문 : 병원의료윤리위원회를 둘러싼 법적문제에 대한 연구 / 이재경 2014  798
831 9 보건의료 외래환자의 의료기관 내원경로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구자영 2017  784
830 9 보건의료 위험분담계약제도(risk sharing arrangements) 도입 전후 국내 고가 의약품 급여 접근성 비교 / 김정주 2017  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