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 간호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59371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가족탄력성과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care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 저자[authors] 조미영

  • 발행사항 부산 :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55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숙남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 간호전공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암환자,가족,탄력성,돌봄 부담

  • 소장기관[Holding] 부산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221037)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가족탄력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P광역시에 소재한 2개 종합병원의 혈액종양내과 외래를 찾은 암환자 가족과 내과병동에 입원한 암환자 가족 12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29일부터 12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15명을 최종자료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을 측정하는 도구는 한국형 돌봄 경험평가도구(Caregiver Reaction Assessment-Korean Version: CRA-K)로 이는 Given 등[71]이 신체적, 정신적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돌보는 돌봄 제공자의 돌봄 경험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척도로 Lee[5]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가족탄력성을 측정하는 도구는 Kim[15], Jung[26], Wang[27]의 연구에서 수정·보완한 가족탄력성 도구를 Park[28]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암환자 가족에 맞게 수정·보완하였으며, 간호학 교수 2인과 암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3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50.5세이었고, 40세 이하 35명(30.4%), 61세 이 상 33명(28.7%), 51∼60세 26명(22.6%) 순이었으며, 성별은 남자 39명 (33.9%), 여자 76명(66.1%)이었다. 종교는 있음 91명(79.1%), 없음 24명(20.9%)이었고, 환자와의 관계는 자녀 63명(54.8%), 배우자 44명(38.2%) 순이었다. 간병인수는 평균 2.37명으로 2명 36명(31.3%), 3명 34명(29.6%), 1명이 29명(25.2%) 순이었고, 의료비 부담자는 환자본인 41명(35.7%), 자녀 39명(33.9%), 배우자 32명(27.8%)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돌봄 부담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은 2.67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생활패턴의 변화 3.18점, 신체적 부담 2.72점, 경제적부담 2.59점, 가족협조부족 2.17점이었다. 

3. 대상자의 가족탄력성 정도는 5점 만점에 평점은 3.60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족응집력 3.79점, 가족강점 3.75점, 의사소통 3.74점, 대처전략 3.56점, 사회적지지 3.55점, 가족자원 3.26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 부담의 차이는 간병인수(F=6.2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의 차이는 간병인수(F=5.71, p=.001), 월 평균 의료비(F=3.09, p=.01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돌봄 부담, 가족탄력성간의 관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65,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암환자 가족의 가족탄력성은 돌봄 부담에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제 임상에서 암환자가족의 돌봄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가족탄력성의 사정과 중재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are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The participants were 120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including the family caregivers of outpatients with cancer who visited the hemato-oncology outpatient clinics of two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and the family caregivers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cancer in internal medicine wards at the same hospitals. The participants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9 to December 10, 2018. Data from 115 participants were finally analyzed. 

In this study,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was measured using the Caregiver Reaction Assessment (CRA-K). This tool was originally developed by Given et al. [71] with the aim of assessing the care experience of care providers of patients with physical and mental illness and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Lee [5]. Family 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a tool for quantifying family resilience tha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studies by Kim [15], Jung [26] and Wang [27]; used in a study by Park [28];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for use in this study. Its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two nursing professors and three nurses working in cancer ward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50.5 years, with participants 40 years or younger being the most common (n=35, 30.4%), followed by those aged 61 years or older (n=33, 28.7%), and those aged 51-60 years (n=26, 22.6%). By gender, there were 39 men (33.9%) and 76 women (66.1%). In terms of religion, 91 (79.1%) had a religion and 24(20.9%) had no religion. Concerning the relationship with patient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63 (54.8%) were patients’ children, followed by patients’ spouses (n=44,38.2%). The average number of caregivers was 2.37, followed by 2 caregivers (n=36, 31.3%), 3 caregivers (n=34, 29.6%) and 1 caregiver (n=29, 25.2%). In terms of health expenditure, patients most frequently reported bearing these expenses (41, 35.7%), followed by children (n=39, 33.9%), and spouses (n=32, 27.8%).

2. The mean score for the level of caregiver burden was 2.67 out of 5 points. By subdomain, the scores for change in life pattern, physical burden, economic burden, and lack of family cooperation were 3.18, 2.72, 2.59, and 2.17 points, respectively.

3. The mean score for the level of family resilience was 3.60 out of 5 points. By subdomain, the scores for family cohesion, family strengths, communication, coping strategies, social support, and family resources were 3.79, 3.75, 3.74, 3.56,3.55, and 3.26 points, respectively.

4.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care burden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 burd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egivers (F=6.24 p=.001). 

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resili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regivers (F=5.71, p=.001) and average monthly medical expenses (F=3.09, p=.011).

6.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among the participants (r=-0.65, p<.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family resilience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was related to care burden. Further, in order to alleviate care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in clinical settings,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ir level of family resilience and consider related interventions for them.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의 정의 4
가. 돌봄 부담 4
나. 가족탄력성 4
Ⅱ. 문헌고찰 6
1.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 6
2. 가족탄력성 9
Ⅲ. 연구방법 14
1. 연구설계 14
2. 연구대상 14
3. 연구도구 14
가. 돌봄 부담 15
나. 가족탄력성 15
4. 자료수집 방법 및 기간 16
5. 자료 분석 방법 16
6. 윤리적 고려 17
7. 윤리적 제한점 17
Ⅳ. 연구 결과 18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8
2. 대상자의 돌봄 부담 정도 20
3. 대상자의 가족탄력성 정도 22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 부담의 차이 24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의 차이 25
6. 대상자의 돌봄 부담, 가족탄력성의 상관관계 27
Ⅴ. 논의 28
VI. 결론 및 제언 32
참고문헌 34
부 록 44
Abstract 5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69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제56조의 태도 / 정문성 2016  197
568 9 보건의료 연극치료의 여성주의적 접근 - 성폭력 피해여성의 외상과 관련하여 - / 김숙현 2018  197
567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의 일차의료 치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2017  196
566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소비자광고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혜경 2011  196
565 9 보건의료 인터넷신문 치과 의료광고의 의료법 위반 실태에 관한 연구 / 이상헌 2012  195
564 9 보건의료 아동 임종간호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 박소연 2018  195
563 9 보건의료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주 외 2018  195
» 9 보건의료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가족탄력성과의 관계 / 조미영 2019  195
561 9 보건의료 2014년 주요 의료판결 분석/정혜승 외 2015  194
560 9 보건의료 의료행위와 기본권: 헌법 해석적 접근/장철준 2014  192
559 9 보건의료 독일법상 의약품의“허가사항외 사용 (Off-Label-Use)” / 김기영 2010  192
558 9 보건의료 화학제품 안전관리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 김은정 2016  192
557 9 보건의료 중국 원격의료 도입과 정책 시사점 / 이찬우 2017  192
556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요양병원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용재 2017  192
555 9 보건의료 간호사의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 / 이영숙 2008  191
554 9 보건의료 경제성을 고려한 CEP 기반의 의료기관 데이터 실시간 분석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김미진 2016  191
553 9 보건의료 복합만성질환자의 의료이용 과정 및 복합만성질환의 의미 탐색 : 근거 이론적 접근 / 유수영 2016  191
552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이규호 외 2017  186
55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법제 개선방안 / 박대웅 외 2016  185
550 9 보건의료 포괄수가제 당연적용에 따른 의료서비스 감소에 관한 연구 : 비급여대상 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 윤희주 2016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