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50341 


환자 돌봄 의사소통 측정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the Patient Caring Communication Scale


  • 저자[authors] 허명륜(Heo, Myoung Lyun),임숙빈(Im, Sook B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9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간호과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0-9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Communication,Patients,Nurses,Factor Analysis,Statistical,의사소통,환자,간호사,요인 분석,통계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scale that measures the level of patients’ recognition of the nurses’ care, based on Watson’s caring theory, and confirm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he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 expert content validity test.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85 inpatients of internal medicine and surgical units at two general hospitals. Construct validity was tested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was tested using Cronbach’s alpha. Results: This process resulted in a preliminary scale composed of 34 items; We used item analysis and five exploratory factor analyses, and consequently selected 14 items composed of three factors (respect, genuineness, and relationalit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verified the model fit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final items; criterion validity was confirmed with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easurement scale of the patient-perceived quality of nursing . The overall scale reliability had a Cronbach’s alpha of .92, which indicated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Conclusion: The developed scale showed content,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and reliability, as well as convergent validity for each item and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the factors. This makes it suitable for use in a diverse range of future studies on nurse communic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목차[Table of conten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29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질병트렌드에 따른 지역 군집화 방법론 개발 / 이택호 2017  111
528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인증제를 경험한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2015  111
527 9 보건의료 한국의 고령화와 의료산업 / 윤재중 2018  111
526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 권상조 2018  112
525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112
524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시판 후 조사와 리베이트 / 박수헌 2016  112
523 9 보건의료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배그린 2014  112
522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선택의 결정요인 / 이성경, 최지호 2017  112
521 9 보건의료 NFC 기술 기반 병원의료정보 서비스 / 문용일 2016  113
520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권리와 공유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고은경 2017  113
519 9 보건의료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화영 2015  113
518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문세연 외 2017  113
517 9 보건의료 혼인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행태 분석 / 이웅 2018  113
516 9 보건의료 민간의료보험료 가구부담 및 보험금 수령에 따른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분석 / 김유진 2017  114
515 9 보건의료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및 표준화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114
514 9 보건의료 한국형 멜드 시스템 도입 전후의 뇌사자 간이식 성적 비교: 단일기관 연구 / 이지아 외 2018  114
513 9 보건의료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 황임경 2018  114
512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입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구조분석 / 윤기찬, 장한나 2014  115
511 9 보건의료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약사법을 중심으로 / 조영기, 김상태 2011  115
510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정의로운 보건의료체계: 수단과 목적 / 박상혁 2016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