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08663 
우울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Influenc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 저자[authors] 이경은(Lee Kyongeu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19[2018]
  • 발행처[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75-991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73
  • 주제어[descriptor] 한국 성인,우울증,건강관련 삶의 질,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adult,depression,health-realted quality of life,EQ-5D,National survey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우울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이차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의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를 파악하는 대표적인 국가 조사로,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는 2013년에서 2015년까지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원 자료 전체 7,380명 중 의사로부터 우울증을 진단받고 현재 우울증이 있는 것으로 조사된 우울증 환자 전수 151명이다. 우울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을 위해 SPSS/WIN 23.0 및 STATA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2017년 12월부터 3개월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F=9.469, p<.001),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37.8%였다 (Adjusted R2=.338). 우울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다고 판단할수록(β =0.223, p=.003), 활동제한이 없을수록(β=0.300, p <.001), 최근 1년 동안 병의원에 가고 싶을 때 병의원에 내원 가능할수록( β=0.159, p=.029) 높게 나타났다. 우울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우울증 환자에 대한 차별화된 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개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EQ-5D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This study carried out seondary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6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 samples of this study who were selected are 151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by the SPSS 23.0 and STATA 13.0 program. The mean score of EQ-5D was 0.81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β=0.223, p=.003), restriction of activity(β=0.300, p<.001), and available of hospital visitation(β=0.159, p=.029) had only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F=9.469, p<.001)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explaining 37.8% of the variance(Adjusted   R2=.338).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in Korea have low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other subjects. In addition,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iffered from previous studies. Therefore differentiated nursing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to improve each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preparing a practical health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epressed patients.]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9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김현주 외 2015  432
88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과 신약 개발, 누구의 먹을거리인가? / 백용욱 2016  434
87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1
86 9 보건의료 미국 보건의료개혁의 정책 연혁 및 공공성 분석 / 여영현 외 2018  452
85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2013  453
84 9 보건의료 유령수술에 대한 미국 판례의 동향/성수연 2015  467
83 9 보건의료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1262 판결, 2015. 5. 14. 선고 2012다72384 판결을 중심으로 -/이동필 2015  472
8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간호인력 수급 현황과 과제 / 박소영 2018  472
81 9 보건의료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 진단법의 최신 경향 및 고찰 / 이지혜 2019  475
80 9 보건의료 1개 3차 병원의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병원전 심정지 환자에서 119 구급대에 의한 자동제세동기 사용 실태 및 효과 / 정시영, 배현아, 어은경 2009  476
79 9 보건의료 보건권의 헌법적 의미- 복지국가 실현을 이끄는 역동적 인권/박종현 2015  476
78 9 보건의료 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포괄간호서비스 제공경험 :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 / 주명순 2016  485
77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76 9 보건의료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 송주현 2014  491
75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의 의료기관 개설·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의료기관 개설기준 위반을 중심으로 -/김준래, 백남복, 이윤학 2015  492
» 9 보건의료 우울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경은 2018  507
73 9 보건의료 프랑스 의료제도와 진찰료 정책 동향 / 이정찬, 손강주 2019  508
72 9 보건의료 의약품 품질보증 시스템에서 Quality by Design 적용 / 이혜민 2014  509
71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2
70 9 보건의료 원격의료제도 현실화 문제와 개선방안 / 이한주 2018  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