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과 복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09811 
보건의료정보 관리자의 데이터 분석 능력 향상을 위한 색인 검색 프로그램 활용 방안 

= Utilization Plan of Index Search Program for Improve Data Analysis Ability of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r

  • 저자[authors] 최준영(Joon-Young Choi)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과 복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3[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9-6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환자색인,의사색인,질병색인,수술색인,Patient index,Physicians" index,Disease index,Operation index

초록[abstracts]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의료정보 관리 능력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이해하고 검색할 수 있는 교육용 색인 검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안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색인 검색을 이용하여 보건의료정보관리자가 다양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조회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색인검색 프로그램에서 환자색인, 의사색인, 질병색인, 수술색인을 이용하여 환자 기본정보, 퇴원 요약 정보, 진단 내역 및 수술 내역을 조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색인 검색 프로그램은 인덱스를 사용하여 검색한 데이터에서 SQL을 사용하여 좀 더 다양한 데이터를 검색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교육용 색인 검색 실습 프로그램은 vb.Net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보건의료정보관리를 위한 학습자가 데이터의 구조를 쉽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ACCESS의 Database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실습자들이 의무기록의 데이터를 직접 검색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료정보를 생성해봄으로써 의료정보관리에 대한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효과적인 의료정보교육을 위해서는 대학에서 표준화된 의료정보관리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향후에는 색인검색 프로그램의 학습효과를 조사하고 평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has developed and proposed a program for educational index searching that can understand and search the flow of data in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of the health information manager. This program aims to improve the ability of health information managers to search and analyze various data using index search. also Using Patient index, doctor index, disease index, operation index can be used to inquire patient basic information, discharge summary information, diagnosis history, and operation history. The index search program is a program that can retrieve more various data by using SQL from the data retrieved by using the index. The index management educational practice program was developed using vb.Net. The database utilized the ACCESS Database, which allows learners to easily understand and practice the structure of the data. Therefor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sought to improve the practice skills of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by directly retrieving the medical data and capture and analyzing the data to generate medical information. However, for effective medical information education requir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 curriculum at univers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learning effect of the index search program in the future.]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9 9 보건의료 민간보험 도입 후 개원의사들이 느끼는 진료환경의 변화/이성원 외 2015  149
468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리와 실현 / 윤석찬 2015  149
467 9 보건의료 전문병원 홈페이지의 의료광고 콘텐츠 분석 / 정해린 2016  149
466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 기반마련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이은환 2016  149
465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에서 민법상 의료계약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민국현 2018  149
464 9 보건의료 일개 응급의료센터에서 전문의에 의한 fast track 운영의 효과 / 정진희, 배현아 2008  148
463 9 보건의료 병원 내 간호사의 조제 보조행위와 약사법 개정 방향 / 현두륜 2015  148
462 9 보건의료 의료용 인공지능의 허가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고찰 : 미국·유럽·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오지현 2017  148
461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48
460 9 보건의료 개정 의료법상 설명의무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현두륜 2017  148
459 9 보건의료 최근 사례를 통해 본 (시술관련) 의료관련감염 / 이재갑 2018  148
458 9 보건의료 진료계약의 환자 측 당사자확정에 관한 소고 -제3자 진료요청행위의 해석을 중심으로-/박동진 2014  147
457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 처방 예측 모델/고승완 외 2018  147
456 9 보건의료 클라우드 환경에서 의료 빅데이터 활용 및 전망 / 한정수 2014  146
455 9 보건의료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도입에 따른 경쟁제한성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유신현 2015  146
454 9 보건의료 희귀 의약품의 현재 상황과 발전 방향 / 손영배 2013  146
453 9 보건의료 국내 헬스케어 빅데이터 현황과 신규 연구 방향 / 신수용 2017  146
452 9 보건의료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바이오의약품 적용여부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2  145
451 9 보건의료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노인환자의 의료이용량 / 이용재 2017  145
450 9 보건의료 예외적 보건 위기와 위기 상황의 차단 - 프랑스 감염병 관리 및 위기 대응 체계를 중심으로/ 박혜미, 김대중 2017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