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東亞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867053 


 일본 정밀의료 관련 법제의 현황과 함의 


= The Main Contents and Implication of Precision Medicine-Related law in Japan


  • 저자[authors] 이기호(Lee, Ki-Ho),김계현(Kim, Kye-Hyu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東亞法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81[2018]

  • 발행처[publisher]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07-22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정밀의료,개인정보,의료정보,익명가공 의료정보,차세대의료기반법,Precision Medicine,Personal Information,Health Information,deidentified personal information,Next Generation Medical Based Law


초록[abstracts] [의료분야는 4차 산업혁명에서 가장 주목받는 분야 중에 하나로 그중에서도 정밀의료는 미래의료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속화시킬 주요 분야로 손꼽히고 있다. 그러나 정밀의료 연구에는 대량의 개인정보가 요구되어 이에 대한 법적윤리적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정밀의료 관련 현황 및 정책동향을 살펴보고, 관련 법제인 ‘차세대 의료기반법’의 주요 내용을 검토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일본은 미래 경제성장과 사회문제 해결의 핵심이 데이터임을 강조하고, 데이터 활용방안을 국가차원에서 강구하였다. 또한 보다 적극적으로 의료분야의 연구발전을 위해 익명가공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차세대의료기반법’을 제정하여 정밀의료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 법은 익명가공 의료정보를 안전하게 생성하고 취급할 수 있도록 인증제도를 마련한 것으로 익명가공 의료정보를 취급하는 사업자 등은 인정된 사업의 목적 범위 내의 취급, 재식별 금지, 의료정보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안전조치, 종업원 등의 관리, 수탁자의 관리감독, 제3자 제공 금지 등의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본은 정밀의료를 포함한 의학분야 임상연구에 고도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 간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법적·제도적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일본의 관련 법제의 내용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입법시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Precision medicine is one such trend that commands ever-increasing attention. However, the emergence of genomic research and precision medicine poses various ethical, legal, and social problems.    Major countries have engaged in social discussions over an extensive period of time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legal systems that seek to promote genomic research and precision medicine while ensuring an appropriate level of protec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issues that may arise from the handling of personal information in precision medicine research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precision medicine in Korea. To do this, we reviewed the main contents of Japan"s Next Generation Medical Based Law.    Korea will be taking its time and engaging in adequate, long-term social discussions in order to facilitate its efforts to establish a legal system that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genomic research and precision medicine.]



목차[Table of content] Ⅰ. 들어가며  Ⅱ. 정밀의료의 개요와 일본의 관련 정책 동향  Ⅲ. 일본 ‘의료분야 연구개발에 이바지하기 위한 익명가공 의료정보에 관한 법’의 개요 및 세부 내용  Ⅳ.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789 9 보건의료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 진단법의 최신 경향 및 고찰 / 이지혜 2019  475
788 9 보건의료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1262 판결, 2015. 5. 14. 선고 2012다72384 판결을 중심으로 -/이동필 2015  472
787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간호인력 수급 현황과 과제 / 박소영 2018  472
786 9 보건의료 유령수술에 대한 미국 판례의 동향/성수연 2015  467
785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2013  453
784 9 보건의료 미국 보건의료개혁의 정책 연혁 및 공공성 분석 / 여영현 외 2018  452
783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2
782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과 신약 개발, 누구의 먹을거리인가? / 백용욱 2016  434
781 9 보건의료 희귀·난치성질환 가족의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그리고 자조모임 활동을 중심으로 / 최인희 2015  432
780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김현주 외 2015  432
779 9 보건의료 의약품 온라인 판매 규제의 새로운 접근/이원복 2015  431
778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0
777 9 보건의료 국내 메르스(MERS) 사태가 남긴 과제와 법률에 미친 영향에 대한 소고(小考)/윤종태 2015  426
776 9 보건의료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은영 2018  421
775 9 보건의료 의료사고의 안티 포렌식 범죄 기법의 대응에 관한 연구 / 엄민수 2018  418
774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역할,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김상득 2015  417
773 9 보건의료 만성질환 의료이용 분석과 개선방안 - 고혈압, 당뇨병을 중심으로 - / 박은자 외 2016  413
772 9 보건의료 의료법 개정에 따른 의사의 설명의무책임에 대한 연구 : 의료법 제24조2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권영직 2018  408
771 9 보건의료 병원감염관리 표준지침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 이수정 2017  407
770 9 보건의료 결핵예방법의 격리명령의 실행과 한계에 관하여/김장한 2015  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