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45701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저자[authors] 한대성,정민예,김종배,박지혁,이향숙,정원미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1[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작업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5-8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가이드라인, 작업치료, 치매, Guideline, Occupational therapy, Dementia

초록[abstracts]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적절한 평가와 중재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작업치료 실행체계를 토대 로 근거기반의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임상진료지침개발과 수용개작의 과정을 통하여 국외의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5개를 AGREE Ⅱ(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 EvaluationⅡ)로 평가하여 1차 가이드라인을 구성하였으며, 국 내 임상에 맞는 권고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58개의 작업치료 치매 관련 연구를 분석한 내용을 추가하 여 최종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을 완성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실행체계를 기반으로 6개 영역 66항목으로 가이드라인이 구성되었다. 각 영역별로는 작업의 영역 14개 항목, 수행기술 31개 항목, 수행양상 3개 항목, 물리적 환경 6개 항목, 활동요건 5개 항목, 환자 -보호자 영역 7개 항목으로 가이드라인이 도출되었다. 각 항목에는 권고 강도(A~D)가 부여되었으며, A 또는 B의 권고 강도로 나타난 항목은 42항목이었다. 일상생활활동 평가, 인지기능(기억력, 집중력, 지남력) 평가, 심리상태 평가, 보행과 균형 평가, 신체적 활동, 환경수정, 보호자 교육 및 상담 등에서 권고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은 다양한 환경에서 치매환자에게 평가와 중재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며, 치매환자 관리에 있어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명확히 하는 근거가 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guideline for Alzheimer’s disease based on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in order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o choose appropriate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and provide effective, economical, and professional services to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their caregivers. Methods: 5 occupational therapy guidelines evaluated with the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and Evaluation II (AGREE II) tool. In order to identify additional evidence on occupational therapy conducted in Korea, conduct a literature review and found 185 articles. Of these, 58 articles on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and interventi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 final guideline was completed by combining the first draft and the items obtained through additional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The items were combined into domains of area of occupation, performance skills, performance patterns, environment, activity demands, and caregivers. ADL, IDL, cognitive skill, behavioral management, training of physical function, physical environment, and care-giver domains had high recommendation grades (A). Conclusion: Studies with high levels of evidence have been conducted on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thereby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Moreover, this study suggest grades of recommendation in order for effective approaches to be taken in each domain.]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핵심 질문 선정    2. 자료 수집    3. 가이드라인 평가    4. 가이드라인 권고 통합    5. 추가 임상질문 해결을 위한 권고 개발    6. 가이드라인 완성   Ⅲ. 연구 결과    1. 자료수집을 통한 가이드라인 평가    2. 핵심질문에 따른 가이드라인 요약    3. 추가 임상 질문 해결을 위한 문헌 고찰    4. 가이드라인 완성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 동향 / 이선원 외

발행년 2011 

  • 조회 수 62

9 보건의료 제조방법 변경에 따른 의약품동등성시험 가이드라인 연구 / 조일영 외

발행년 2010 

  • 조회 수 286

9 보건의료 새로운 수혈 가이드라인 / 김현옥

발행년 2011 

  • 조회 수 53

9 보건의료 충북지역 장애인 치과의료서비스 환경실태 및 개선방향 / 김선주

발행년 2018 

  • 조회 수 60

9 보건의료 의료사고의 안티 포렌식 범죄 기법의 대응에 관한 연구 / 엄민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418

9 보건의료 응급환자 진료 지연 판례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송이

발행년 2018 

  • 조회 수 222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 권리보호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상기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7

9 보건의료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한대성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366

9 보건의료 국제 유전독성시험 가이드라인 최신 동향 / 김주환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231

9 보건의료 감염예방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WHO의 가이드라인 소개 / 김준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60

9 보건의료 생활습관병 예방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과 의사의 역할 / 박지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95

9 보건의료 유방암 치료에 대한 한의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이남헌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57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을 중심으로 / 홍석한

발행년 2014 

  • 조회 수 5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적 검토 - 개인정보보호를 중심으로 - / 김근령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268

9 보건의료 왜, 지금 초고령사회 일본은 지역 & 재가의료에 집중하는가 / 김춘남

발행년 2018 

  • 조회 수 68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소고 / 박한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199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4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기술평가의 역할 / 이영성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 김유미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