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의사협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37927 
생활습관병 예방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과 의사의 역할 

= Development of lifestyle disease guidelines and the role of physicians

  • 저자[authors] 박지은,김한나,김계현,김형수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대한의사협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61No.1[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의사협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2-7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초록[abstracts]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nd diabetes, account for 60% of global mortality. These conditions are directly related to unhealthy lifestyle habits, which are considered to be preventable risk factors, making it important to establish and maintain healthy habits. Several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have organized medical-based expert committees in order to develop and release lifestyle management guidelines. In this study, committees in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Netherlands, and Australia, and how they have developed guidelines, are scrutinized as benchmark policy cases. Physicians comprise most of the members of those committees, and most of the committees are operated independently from the government. All members of each committee are transparently listed on the committee’s website, and the committees develop guidelines in a systematic and well-organized way. In comparison with these international committees, the relevant Korean committees (the Medical Guideline Committee and the Korean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have a number of things to change in terms of independence, expertise,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guidelines. First, both of these committees are directly related to a governmental agenc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proportion of physicians on the Medical Guideline Committee and the Korean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is lower than that of other committees. Moreover, the focus of the current process of developing guidelines is limited to development itself, rather than the broader process, including re-assessment and feedback loops. This paper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current lifestyle guideline committee based on case studies, with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quality of lif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9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상 환자안전사고의 범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95
248 9 보건의료 진료계약의 위반에 관한 법률문제 / 정다운 2017  95
247 9 보건의료 사례 중심의 의료기기 임상시험 교재 개발 / 박남미 2018  95
246 9 보건의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자동조정절차 개시제도 도입경과 및 개선방안 / 김성은 2017  95
» 9 보건의료 생활습관병 예방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과 의사의 역할 / 박지은 외 2018  95
244 9 보건의료 감염 예방을 위한 인공신장실 의료 환경에 대한 고찰 - 근거 기반의 디자인 중심으로 / 한수하 외 2018  95
243 9 보건의료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여성근로자의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김은혜 2019  95
242 9 보건의료 의료전문직의 이윤추구 동기가 의료재정정책과정에 미치는 영향 / 최희경 2010  94
241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 박실비아 2016  94
240 9 보건의료 시험 연구용 LMO 관리 프로그램 개발 /유병천 2016  94
239 9 보건의료 바이오테크 기업의 기술영역 변화와 제약회사와의 전략적 제휴 / 윤우진 2010  94
238 9 보건의료 IoT 기반의 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예찰 시스템 설계 / 김정국 2017  94
237 9 보건의료 돌발성 암성 통증 약물 선택 요인과 사용 경험: 의사 대상 설문조사 / 신진영 외 2018  94
236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의료판례 변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판결양식과 손해배상액을 중심으로 -/신현호 2014  93
235 9 보건의료 건강보험 한방급여의 문제점 / 성종호 2017  93
234 9 보건의료 국제표준화의 불확실성과 메르스사태 / 김기흥 2016  93
233 9 보건의료 기업의 CSR 활동이 조직원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 조두현 2019  93
232 9 보건의료 미국 보건의료 R&D 시스템의 특징과 시사점 / 이명화 외 2015  92
231 9 보건의료 맞춤형 급여체계 도입 이후 의료급여제도 현황과 정책과제 / 신현웅 외 2016  91
230 9 보건의료 원격의료시스템에서 심장박동기의 보안 위협 모델링 / 박진우 외 2018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