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공익과 인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03815 
트랜스젠더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transition-related care for transgender people

  • 자[authors] 박한희 ( Park Hanhee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공익과 인권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2018]
  • 발행처[publisher]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91-23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트랜스젠더, 성전환자, 성전환수술, 건강보험, 건강권, 트랜지션 의료, Transgender, National health insurance, Transition-related care, Right to health, Right to social security

초록[abstracts] 
[출생 시 지정된 성별과 다른 성별로 자신을 인식하는 트랜스젠더에게 있어 호르몬요법, 생식능력제거수술, 성기형성수술과 같은 트랜지션 의료를 통해 신체적 특징을 변화시키는 것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위화감을 해소하는 데 있어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다. 또한 한국과 같이 법적 성별정정을 위해 일정한 의료적 조치를 요구하는 나라에서 트랜지션 의료는 트랜스젠더가 자신이 원하는 성별로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도 필수적인 부분이다. 그러나 한국의 국민건강보험 체계에서 이러한 트랜지션 의료는 모두 비급여 항목으로 분류되어 건강보험 보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적게는 수십만, 많게는 수천만 원에 이르는 트랜지션 의료비용을 모두 본인이 부담해야만 한다. 트랜지션 의료의 비급여는 나아가 성별정정을 위해 성전환수술을 요구하는 대법원의 엄격한 요건 및 트랜스젠더를 배제시키는 성별이분법적인 사회구조와 맞물려 트랜스젠더의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착시킨다. 트랜지션 의료는 트랜스젠더가 자신답게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적인 의료적 조치로서 그 의료적 필요성이 인정된다. 이에 따라 이미 공적 건강보험으로 트랜지션 의료비용을 보장하고 있는 나라들이 존재하고 그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무엇보다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은 트랜스젠더의 건강권, 의료접근권 보장을 위해 필수적인 제도라는 점에서, 보건의료정책을 넘어 인권적 관점에서 이 문제를 논의해갈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현재 한국정부는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에 소극적이며 어떠한 연구나 검토도 하고 있지 않다. 더 이상 고비용의 의료부담으로 트랜스젠더가 건강권, 의료접근권을 침해받는 일이 없도록 트랜지션 의료에 대해서도 건강보험 보장을 확대해나가는 부분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For transgender people, transition-related care such as hormone therapy and gender affirmation surgery has an important meaning. Transition-related care is sometimes the only and effective way to alleviate the gender dysphoria of transgender people. Also, in countries like Korea, which require medical procedures as a precondition for legal gender recognition, transition-related care is an essential for transgender people to live as their affirmed genders. However, in Korea'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ll of these transition-related cares are classified as non-benefit items. Therefore, transgender people in Korea have to cover all the costs for transition-related care, which amount to tens of millions of won. In addition, because of the abusive requirements for legal gender recognition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of transgender people, classifying transition-related care as non-benefit items is especially problematic and discriminatory for transgender people. Transition-related care is already recognized as a medically necessary and essential treatment for transgender people. Also, covering transition-related care by health insurance is an essential part for the full enjoyment of the right to health and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for transgender people. As a result, in more and more countries, transition-related care is being covered by public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s. Nevertheless, the Korean government is denying the medical benefits for transition-related care and has not conducted any studies or reviews until now. To ensure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transgender people, there has to be a discussion about covering transition-related care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 동향 / 이선원 외

발행년 2011 

  • 조회 수 63

9 보건의료 제조방법 변경에 따른 의약품동등성시험 가이드라인 연구 / 조일영 외

발행년 2010 

  • 조회 수 286

9 보건의료 새로운 수혈 가이드라인 / 김현옥

발행년 2011 

  • 조회 수 53

9 보건의료 충북지역 장애인 치과의료서비스 환경실태 및 개선방향 / 김선주

발행년 2018 

  • 조회 수 60

9 보건의료 의료사고의 안티 포렌식 범죄 기법의 대응에 관한 연구 / 엄민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418

9 보건의료 응급환자 진료 지연 판례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송이

발행년 2018 

  • 조회 수 222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 권리보호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상기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7

9 보건의료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한대성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366

9 보건의료 국제 유전독성시험 가이드라인 최신 동향 / 김주환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231

9 보건의료 감염예방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WHO의 가이드라인 소개 / 김준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60

9 보건의료 생활습관병 예방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과 의사의 역할 / 박지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95

9 보건의료 유방암 치료에 대한 한의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이남헌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57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을 중심으로 / 홍석한

발행년 2014 

  • 조회 수 5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적 검토 - 개인정보보호를 중심으로 - / 김근령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268

9 보건의료 왜, 지금 초고령사회 일본은 지역 & 재가의료에 집중하는가 / 김춘남

발행년 2018 

  • 조회 수 68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소고 / 박한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199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4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기술평가의 역할 / 이영성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 김유미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