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社會法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07360 
4차산업혁명과 보건복지 서비스에 대한 법적 제도적 연구 - 스웨덴의 스마트핼쓰케어(eHealth) 전략 사례를 중심으로 -

  • 저자[authors] 홍세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社會法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4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사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71-29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4차산업혁명, 스마트핼쓰케어, 스웨덴, 환자정보법, 환자안전법, 4th Industrial Revolution, eHealth, Patient Data Act, Healthcare Act, Patient Safety Act

초록[abstracts]
[이 연구는 스웨덴에서 이미 기반을 마련한 스마트핼쓰(eHealth)케어산업의 법적· 제도적 성격을 검토하여 향후 한국에 스마트핼쓰산업을 조성하기 위한 인프라를 마련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스마트핼쓰케어는 보건케어와 정보통 신(ITC)의 융합을 의미하며, 4차산업을 준비하고 있는 국가들 사이에 국가경쟁력 산 업으로 도약하고 있다. 스웨덴의 경우 2006년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스마트핼쓰케어 (eHealth) 전략을 제시하였고 2025년까지는 세계 최고의 스마트핼쓰케어(eHealth)의 국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스웨덴은 증거기반에 입각한 데이터 등록 제를 통해 국민의 건강을 통제하고 있으며 전자정부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건의료 관리 분야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법적 인프라는 보건의료서비스법, 환자데이터법, 개인정보보호법, 환자 안전법 등을 마련하여 디지털 방식의 서비스 제공과 운영방식 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정보통신을 이용한 환자정보개요, 전 자처방, 표준화, 원격의료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스마트핼쓰산업의 역할을 중앙정부 와 지방정부, 민간기관 등 다차원에서 협력하고 있다. 스웨덴의 스마트핼쓰케어서비스는 국민들의 접근성, 평등성, 효율성 등을 통해 국민들의 건강권을 보장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review of Swedish smart healthcare. Recentl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emerged as a global buzzword, and the area of smart health care (eHealth) has increased in the field of health care. Smart health care means the convergence of health car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ITC). Sweden introduced a smart healthcare strategy at the national level since 2006 and aims to become the world's leading smart healthcare provider by 2025. Currently, Sweden is controlling eHealth of the people through evidence-based data registration system and establishing e-government system to focus on healthcare management. The legal infrastructure is regulated and regulated by the provision of Healthcare act, Patient Data Ac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nd Patient Safety Law, and the provision of equally clear and self-service services of central, local, Accessibility, equality, efficiency and so on.]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스웨덴 스마트핼쓰(eHealth)의 법적 체계   Ⅳ. 스웨덴 국가스마트핼쓰 제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709 9 보건의료 질병예방과 건강수명연장을 위한 지역사회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구축 / 이은환 외 2018  225
708 9 보건의료 의료취약계층환자의 진료시 바람직한 헬스커뮤니케이션 도구 개발 / 김재윤 외 2018  109
707 9 보건의료 의약품의 허가 외 사용에 관한 의료적 관리의 필요성과 원칙: 호주, 영국 사례를 통한 시사점 / 박실비아 2018  102
706 9 보건의료 의료감정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신강욱 2018  162
705 9 보건의료 질병과 지역에 따른 소득분위별 의료이용 불평등도 추이 / 김윤주 2018  250
704 9 보건의료 혼인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행태 분석 / 이웅 2018  113
703 9 보건의료 응급실 환자의 중증도와 만족도의 관련성 / 정지윤 2018  244
702 9 보건의료 한국 고령 환자 전환기 의료 관리체계 개선 방안 : 미국, 호주 비교법 제도 연구 / 백상숙 2018  181
» 9 보건의료 4차산업혁명과 보건복지 서비스에 대한 법적 제도적 연구 - 스웨덴의 스마트핼쓰케어(eHealth) 전략 사례를 중심으로 - / 홍세영 2018  121
700 9 보건의료 노인의 건강과 돌봄 / 이윤경 2018  124
699 9 보건의료 원격의료에서 의료전문직을 위한 실천원리로서 프로네시스(phronesis) / 김진경 2018  60
698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치매관리 현황과 치매국가책임제 / 곽경필 2018  400
697 9 보건의료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 김유미 외 2018  108
696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기술평가의 역할 / 이영성 2018  69
695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2018  64
694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소고 / 박한희 2018  198
693 9 보건의료 왜, 지금 초고령사회 일본은 지역 & 재가의료에 집중하는가 / 김춘남 2018  68
692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적 검토 - 개인정보보호를 중심으로 - / 김근령 외 2018  268
691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690 9 보건의료 생활습관병 예방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과 의사의 역할 / 박지은 외 2018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