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131687 
 암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 Factors affect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 저자[authors] 이인정(In-Jeong Le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9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산학기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97-50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cancer survivors,gender difference,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HRQoL),subjective health recognition,unmet medical need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암생존자의 삶의 질에 대해 보다 면밀한 검토를 통해 이들을 위한 서비스 및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다르게 수용하게 되는 성차(gender difference)를 중심으로 암생존자의 삶의 질의 차이와 예측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중 2013년 자료에서 추출한 암생존자 203명을 표본으로 남녀 집단간 삶의 질 평균차이 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삶의 질의 하위 영역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낮은 삶의 질을 보였으며, 전체적인 삶의 질에 있어서도 여성의 삶의 질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성차에 따른 예측 변인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남성은 주관적 건강인식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여성은 미충족 의료욕구(unmet medical need)가 가장 큰 예측력을 가진 유의미한 변인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았으며, 주관적 건강인식과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성차를 고려한 암생존자 관리의 방향성 제고가 필요하며 여성암생존자 중 고령, 건강상태가 좋지 못한 경우, 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이 낮은 집단에 대한 보다 집중적 서비스를 마련해야하는 등의 실천적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valuate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of cancer survivors and to identify its predictors according to gender.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data for 203 (cancer survivors?) taken from the 6th wave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the EQ-5D index score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The independent variables inluded socio-demographic data, health related factors (survival duration, disability,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and psychosocial factors (stress, unmet medical need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HRQoL of the female cancer survivors was significantly worse than that of the males in terms of their mobility, 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quality of life.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HRQoL of the male cancer survivors was their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In the case of the female cancer survivor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ere their age,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and unmet medical need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different pattern of predictor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ancer survivors. Therefore, gender should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and addressing the individual care needs of cancer survivors, in order to obtain optimal treatment outcome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89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연구개발사업 유형별 경제성평가항목 우선순위 도출 연구 /민희은 외 2017  72
688 9 보건의료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제네릭의약품 시판허가에 미치는 영향/ 박희영 2016  73
» 9 보건의료 암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이인정 2018  73
686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 시행의 의의와 과제 / 이상일 2016  73
685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 혁신시스템에서 규제의 역할과 새로운 방향성/ 이명화 2018  74
684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혜경, 김성수 2019  74
683 9 보건의료 의료인의 거짓 경력에 관한 의료광고에 대한 고찰 / 백경희 2016  75
68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2016  75
681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학과 간 환자안전 교육 / 하성민 외 2019  75
680 9 보건의료 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이인영 2009  76
679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6
678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
677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676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675 9 보건의료 정형화 수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 분류 및 분석 / 이미연 외 2014  76
674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
673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672 9 보건의료 제네릭 의약품 가격이 점유율에 미치는 효과분석 / 신주영, 최상은 2008  77
671 9 보건의료 현행 및 개정안 환자안전법의 자율보고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신재명 외 2018  77
670 9 보건의료 건강정책에 대한 의사들의 정책 정향성 및 책무성: 금연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유현재 2018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