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정책과학학회보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435363 
 한국 보건의료의 제도적·운용적 특성과 공공성 연구
=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Healthcare and Publicness in Korea

  • 저자[authors] 여영현(呂泳賢),김혜정(金惠貞)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2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정책과학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3-7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한국보건의료 특성,보건의료 공공성,의료비,의료이용,의료자원,Characteristics of Korean Health &amp, Medical Service,Publicness of Health &amp, Medical Service,Medical Expenses,Medical Use,Medical Resources

초록[abstracts] [한국은 낮은 재정자원으로 비교적 국민건강과 기대수명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나라에 속한다.    제도적 측면에서 한국은 공공병원의 비중이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국민건강보험과 당연지정제도 등으로 의료 수혜대상의 확대와 의료형평성 등 공공성에 대한 제도적 기반 확충에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운용적인 측면에서는 아직 공공성이 OECD나 영국, 독일, 미국보다 낮다. 첫째, 한국은 GDP 대비 사회복지 지출, 의료비 지출 역시 OECD 평균 및 비교 국가보다 낮다. 그러나 의료비용의 증가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외래진료와 병원입원 일 수 등 병원이용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국민의료의 편익과 관련 없는 비용증가가 보편적 의료서비스의 공공성을 저해하고 있다. 셋째, 인적, 물적 자원을 포함한 의료자원의 비효율적 분배이다. 특히 민간병원, 병상 수의 급증은 과도한 시장경쟁을 촉진하여 공공성을 약화시킨다. 결론적으로 한국은 제도적·운용적 측면에서 수혜대상의 확대,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수용성 촉진으로 기본적인 의료공공성은 크게 높아졌지만 병원이용의 형평성, 의료자원의 최적화, 공적기관의 운영이나 공공재정의 지원 등의 영역에서는 아직도 공공성이 낮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ealth & medical service is that people are receiving relatively favorable medical services even though the number of public institutions established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is about 7%, which is the lowest level out of OECD countries. It is because of the three major characteristics such as healthcare insurance for the whole nation, compulsory designation of private hospitals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disapproval of profit-making hospitals, which is the government"s powerful control over the private sector for the medical publicness. However,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ublicness of Korean medical service with major OECD countries like the UK, Germany, and the US in the aspect of medical expenses, medical use, and medical resources, Korea has many problems. First,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for health & medical service is low, so that the level of medical expenses for each individual is high, which is led to the low publicness in the aspect of medical expenses. Nevertheless, on the excuse of financial pressure by the individual payment system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private hospitals show the abnormal increase of medical use such as over-treatment and increase of doctors" treatment. In the aspect of medical resources, the number of public sickbed is not increasing while there is the distorted distribution of resources like the expansion of high-priced equipments. This could be a side effect of market control led by the government mobilizing private hospitals for public medical service. Considering the increase of medical demand and financial degeneration of healthcare insurance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society of Korea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diverse discussions like the reform of health & medical system and the securement of finances for the expansion of publicness.]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보건의료의 제도적 특성과 공공성
Ⅲ. 한국의 보건의료의 운용적 특성과 공공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49 9 보건의료 군 보건의료의 문제점과 법률적 개선방안 / 우정민 2018  253
648 9 보건의료 사회경제적 특성 및 유병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 / 이고은 외 2018  253
647 9 보건의료 요양급여기준의 법적 성격과 요양급여기준을 벗어난 원외처방행위의 위법성 -대법원 2013. 3. 28. 선고 2009다78214 판결을 중심으로-/현두륜 2014  251
646 9 보건의료 문재인정부 복지정책의 전망과 과제 - 한국 복지국가의 경로를 바꿀 것인가? - / 김연명 2018  251
645 9 보건의료 질병과 지역에 따른 소득분위별 의료이용 불평등도 추이 / 김윤주 2018  250
644 9 보건의료 카데바를 이용한 해부학 실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손인아 2013  249
643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49
642 9 보건의료 유령수술행위의 형사책임 - 미용성형수술을 중심으로 -/황만성 2015  248
641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2015  246
640 9 보건의료 국내 의약외품 관련 사회문제 분석을 통한 새로운 규제 가이드라인 제언 / 안영진 2016  246
639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의료이용 및 삶의 질에 미친 영향분석 2017  245
638 9 보건의료 응급실 환자의 중증도와 만족도의 관련성 / 정지윤 2018  244
637 9 보건의료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 박근수 2015  243
636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의 추진방향과 과제 / 이상영 2015  242
635 9 보건의료 희귀질환 연구와 치료제 개발 동향 / 이신행, 이장익 2013  241
634 9 보건의료 노인의 사회적 입원으로 인한 요양병원에서의 삶의 변화 / 강군생 외 2017  240
633 9 보건의료 최신 연구 소개 : 진행된 간질환을 동반한 C형간염 환자에서 Direct Acting Antivirals를 통한 치료 / 정우진 2016  235
632 9 보건의료 헬스케어와 보험업법상 쟁점 - 헬스케어서비스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 김영국 2019  234
631 9 보건의료 정부의 건강보험수가정책이 국내의료기기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의료기기 업체를 중심으로 / 박용철 2014  233
630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민간활용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에 대한 연구 : 일반인 인식조사와 법제 개선방향 모색 / 손영주 2016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