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환경사회학연구 ECO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92587 
국제표준화의 불확실성과 메르스사태 

= Uncertainties of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Mers CoV Outbreak in Korea : Multiplicity of Uncertainties

  • 자[authors] 김기흥(Kiheung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환경사회학연구 ECO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1[2016]
  • 발행처[publisher] 한국환경사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17-35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주제어[descriptor] 불확실성,메르스,사회구성주의,감염병,다중성,Uncertainty,MERS-CoV,Infectious diseases,WHO,Disease control,Multiplicity.

초록[abstracts] 
[2015년 한국에서 발생한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는 전국을 공포에 몰아넣었으며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일으켰다. 메르스의 갑작스럽고 빠른 확산은 정부의 대응시스템의 비효율성과 의료체계의 문제점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지금까지 다양한 학문적 분석을 통해 메르스 사태에서 나타난 의료체계의 문제와 한국정부의 방역체계의 문제를 논의했지만 정작 메르스 확산에 하나의 원인을 제공한 국제보건기구가 제공한 정보와 매뉴얼의 문제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못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 (WHO)는 메르스 확산과정에서 중앙정부만큼이나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메르스를 둘러싼 불확실성의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본 논문은 메르스 사태를 사회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다양한 문헌들과는 달리 메르스 사태에 세계보건기구가 어떠한 역할을 했으며 세계보건기구가 구성했던 메르스 병원체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불확실성이 어떻게 지역국가 단위에서 다른 형태로 구성되는가, 즉 불확실성의 공동구성성의 형태에 대해서 논의하게 될 것이다. 신종전염병으로서 한국에서 확산된 메르스의 경우 이 질병에 대한 대응지침이 세계보건기구가 설정해놓은 일반적인 표준화된 병원체 정의, 진단 및 조치방식이 어떻게 지역적인 맥락과 충돌하면서 문제를 악화시키는가에 대한 논의를 하게 될 것이다.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 is a novel infectious disease that is mainly widespread in the region of Middle East including Saudi Arabia, Qatar, and Arab Emirates. The diseases was first reported in 2012 in Saudi Arabia. As the name indicates, the disease outbreaks in the Middle East region and it was thought to be limited in the area, though there can be possible danger of international outbreak due to the increasing interaction between countries. This potential danger became a reality in 2015 when a 68-year-old male with a recent travel history to several Middle Eastern countries including Bahrain, Arab Emirates, Saudi Arabia and Qatar showed severe respiratory symptoms in South Korea. For two months, the whole nation was stopped her functions. The fear of spreading the disease prevailed amongst Koreans. By the end of July there have been a total of 185 confirmed cases and 26 deaths reported. Also, more than 14,000 contacts had to be traced for monitoring.    The Korean case of the MERS outbreak alarm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aid attention to the situation in Korea. At the height of the outbreak WHO sent delegates to conduct a joint mission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n government. The WHO team worked closely with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to assess the whole disease controlling system and concluded that there were several potentially problematic factors which might contribute to the widespread of the disease in such a short time period including poor ventilation and ineffective disinfection in hospital, medical shopping culture and overcrowded situation of ER rooms.    However, although many research have searched for why the government agency failed to manage risk communication, there are more important elements to consider in order to understand how and why the disease controlling and preventing system did not work properly. The communication problems and secrecy of policy making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f you examine the whole network of healthcare system includ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search community, government agencies and private clinics, an interesting question can be raised; are there conventional referential criteria to make a decision for controlling and preventing the disease? In fact, most explanations of the origin, transmission route, treatment and guidelines of managing the disease are not completely settled down. In other words, the uncertainties are not completely removed from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

목차[Table of content] 
1. 서론  2. 메르스의 불확실성과 구성적 성격  3. 국제보건기구의 불확실성의 한국 메르스확산에 미친 영향  4. 맺음말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49 9 보건의료 사례 중심의 의료기기 임상시험 교재 개발 / 박남미 2018  95
248 9 보건의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자동조정절차 개시제도 도입경과 및 개선방안 / 김성은 2017  95
247 9 보건의료 생활습관병 예방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과 의사의 역할 / 박지은 외 2018  95
246 9 보건의료 감염 예방을 위한 인공신장실 의료 환경에 대한 고찰 - 근거 기반의 디자인 중심으로 / 한수하 외 2018  95
245 9 보건의료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여성근로자의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김은혜 2019  95
244 9 보건의료 의료전문직의 이윤추구 동기가 의료재정정책과정에 미치는 영향 / 최희경 2010  94
243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 박실비아 2016  94
242 9 보건의료 시험 연구용 LMO 관리 프로그램 개발 /유병천 2016  94
241 9 보건의료 바이오테크 기업의 기술영역 변화와 제약회사와의 전략적 제휴 / 윤우진 2010  94
240 9 보건의료 IoT 기반의 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예찰 시스템 설계 / 김정국 2017  94
239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관리 통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동희 2017  94
238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종합병원에서의 포괄수가제 적용 전·후 재원일수와 진료비의 변화 / 정수진, 최성우 2017  94
237 9 보건의료 돌발성 암성 통증 약물 선택 요인과 사용 경험: 의사 대상 설문조사 / 신진영 외 2018  94
236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의료판례 변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판결양식과 손해배상액을 중심으로 -/신현호 2014  93
235 9 보건의료 건강보험 한방급여의 문제점 / 성종호 2017  93
» 9 보건의료 국제표준화의 불확실성과 메르스사태 / 김기흥 2016  93
233 9 보건의료 기업의 CSR 활동이 조직원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 조두현 2019  93
232 9 보건의료 미국 보건의료 R&D 시스템의 특징과 시사점 / 이명화 외 2015  92
231 9 보건의료 맞춤형 급여체계 도입 이후 의료급여제도 현황과 정책과제 / 신현웅 외 2016  91
230 9 보건의료 원격의료시스템에서 심장박동기의 보안 위협 모델링 / 박진우 외 2018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