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87983 
정밀의료를 위한 자기추적기술과 개인의 자율성 

= Self-tracking Technology and Personal Autonomy for Personalized Healthcare

  • 저자[authors] 류재한(Ryu Jae ha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哲學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45No.-[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1-9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151
  • 주제어[descriptor] 생명의료윤리,과학철학,자기추적기술,정밀의료,빅데이터,협의의 생명윤리적 자율성,역량 중심 접근법에 입각한 관계적 자율성,self-tracking technology,personalized healthcare,big data,relational autonomy based on the capability approach

초록[abstracts] 
[본 본문은 자기추적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정밀의료 시대에 자율성 존중 논의를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존중의 대상이 되는 자율성 개념, 즉 협의 생명의료윤리적 자율성과 관계적 자율성을 검토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먼저 협의의 생명의료윤리적 자율성(narrow bioethical autonomy)으로 규정되는 탐 비첨(Tom Beauchamp)과 제임스 췰드리스(James Childress)가 제시하는 자율성 논의를 검토를 통해서, 자율성 개념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힐 것이다. 그런 다음에 협의의 자율성 보다 확장된 광의 자율성으로써 관계적 자율성이 새로운 상황에서 윤리적 지침을 형성하는 대상으로 적합한 자율성 개념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autonomy, which is the subject of respect, namely, narrow bioethical autonomy and relational autonomy, before discussing autonomy in the era of personalized healthcare based on self-tracking technology. There is a need to extend the scope of the autonomy concept through a review of the autonomy debates presented by Tom Beauchamp and James Childress. Then, I suggest that relational autonomy based on the capability approach as a broader autonomy than the autonomy of consultation is a suitable concept of autonomy as an object to form ethical guidelines in a new situation.]

목차[Table of content]
[논문개요] 1. 들어가는 글 2. 기존 개념과 새로운 상황 3. 새로운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9 9 보건의료 인터넷 의료광고가 병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성일 2012  81
208 9 보건의료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최호영 2016  80
207 9 보건의료 요양병원 수가제도에 대한 소고 - 환자군 조정 판결을 중심으로 - / 권혜옥 2017  80
» 9 보건의료 정밀의료를 위한 자기추적기술과 개인의 자율성 / 류재한 2018  80
205 9 보건의료 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불법행위책임(不法行爲責任)의 행정벌화(行政罰化) / 이원복 2017  79
204 9 보건의료 인공지능로봇의료의 도덕형이상학적 모색: 의료적 전자인간의 책임가능성 / 정창록 2018  79
203 9 보건의료 국내외 치매관리 동향과 시사점 / 박종연 외 2018  79
202 9 보건의료 감염방지의무위반에 따른 민사상의 책임과 한계 : 독일의 판례와 증명책임완화규정을 중심으로 / 김기영 2018  79
201 9 보건의료 지구화된 의료시장에서 연구자와 환자의 정체성 / 한광희 2019  79
200 9 보건의료 건강정책에 대한 의사들의 정책 정향성 및 책무성: 금연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유현재 2018  78
199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198 9 보건의료 제네릭 의약품 가격이 점유율에 미치는 효과분석 / 신주영, 최상은 2008  77
197 9 보건의료 현행 및 개정안 환자안전법의 자율보고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신재명 외 2018  77
196 9 보건의료 정형화 수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 분류 및 분석 / 이미연 외 2014  77
195 9 보건의료 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이인영 2009  76
194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6
193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
192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191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190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