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사상과 문화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20700 

 의료수요자 중심의 통합의료모델 개발을 위한 의료전문직의 인식에 대한 연구 
= An Attitudinal Study of Medical Profession for Development of Integrated Medical Model for Medical Consumers

http://www.riss.kr/link?id=A101820700

  • 저자[authors] 정우진(Chung, Woo-Jin),조치흠(Cho, Chi-Heum),임영규(Lim, Young-Kyu),이현지(Lee, Hyun-Ji)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사회사상과 문화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9No.1[2016]

  • 발행처[publisher] 동양사회사상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67-29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주제어[descriptor] 통합의학,통합의료모델,한양방협진,의료수요자 중심,협진방안,integrated medicine,integrated medical model,cooperated treatment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centering onmedical consumer,strategy of cooperated treatment


초록[abstracts] 
[오늘날 한국의료시장에서 의료수요자의 다수는 양방과 한방을 모두 이용하는 의료서비스를 소비하고, 다수의 병의원이 양방과 한방의 협진을 실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방과 한방의 통합적인 사용에 대한 의료제도와 의료정책이 미비한 관계로 의료수요자들의 혼란과 중복진료, 과잉진료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의료헤게모니를 장악했던 서구의학계가 통합의학에 대한 문제의식과 필요성에 입각한 통합의학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반면 양방과 한방이 독립적인 의료체계를 가지고 각각 독립적인 발전을 이룬 한국의학계는 이러한 트렌드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에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수요자 중심의 통합의료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의 의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통합의학에 대한 인식, 통합의학의 필요성, 통합의학이 필요한 질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는 양방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전문직을 조사대상자로 제한하고 있다는 점, 조사대상자의 사례 수가 한정되어 있는 점 등의 제약이 있지만, 통합의료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가지고 있다., 

Nowadays many Koreans use both kinds of medical services which are Western medicine and Korean traditional medicine. And many hospitals provide integrated medical service. But medical care system and medical policy for integrated use of Western medicine and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s not completed. Therefore, confusion of medical consumer, duplicated diagnosis, and over treatment often occur. Lately Western medicine which occupies the medical hegemony leads the trend of integrated medicine. But because Western medicine and Korean traditional medicine has developed independently, it"s very difficult that Korean medicine manages the new trend.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for integrated medicine, the necessity of integrated medicine, the awareness of the diseases which need the treatment of integrated medicine to medical doctors and nurses of Keimyung Dongsan Medical Center.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develop the integrated medical model which fits to the need of medical consumers.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like the restriction of pollee and the limited numbers of sample. But this research can be the basic work to develop the integrated medical model.]

목차[Table of content]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조사내용  Ⅲ. 조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29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이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정책 중심으로 / 오혜진 2018  174
528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과 기계 의료 윤리 / 전대석 2018  174
527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 김재선 2016  173
526 9 보건의료 한국 의료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한 1인 가구의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관한 종단분석 / 이정민 2018  173
525 9 보건의료 미국 「생물의약품 가격경쟁 및 혁신법」 상 '배타권'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2  172
524 9 보건의료 리베이트금지정책 사례연구: 의약품 리베이트 금지 / 이윤석 2016  172
523 9 보건의료 환자안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정오 외 2015  171
522 9 보건의료 헬스케어산업 관점에서 본 린스타트업 적용 사례연구 / 임성훈, 김용태 2015  171
521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본인부담금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최성은 2018  171
520 9 보건의료 우리나라와 OECD의 의료자원 투입량의 비교를 통한 보험수가의 이론적 추정 / 오동일 2013  169
» 9 보건의료 의료수요자 중심의 통합의료모델 개발을 위한 의료전문직의 인식에 대한 연구 / 정우진 외 2016  169
518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8
517 9 보건의료 임상간호사의 건강보험수가 적용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에 관한 연구 / 김경희 2002  167
516 9 보건의료 국민건강증진기금 활용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2017  167
515 9 보건의료 노인의료복지 분야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조태현 외 2018  167
514 9 보건의료 환자 돌봄 의사소통 측정 도구 개발 / 허명륜, 임숙빈 2019  167
513 9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의학에서 의료 인공지능의 활용사례 / 박승균 2019  167
512 9 보건의료 응급의료 수가체계 개선방안 /이윤태 2004  166
511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가 소비자 병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택준 2010  166
510 9 보건의료 항생제 내성의 극복: 질환별 항생제의 올바른 선택 / 이미숙 2017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