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성인간호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875805 
한국인 고혈압 환자의 의료접근성 및 미 충족 의료실태와 위험요인 분석 

=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Korean Adults with Hypertension

  • 저자[authors] 오희영(Oh, Heeyoung),길은하(Gil, Eunha)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성인간호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9No.1[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성인간호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2-3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Needs assessment,Access to health care,Hypertension,Adults,미 충족 의료,의료접근성,고혈압,성인

초록[abstracts]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econdary analysis study were to examine prevalence, risk factors and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adults with hypertension. Methods: A sample of 3,386 adults over the age of 40 with hypertension was drawn from the Korea Health Panel Study (2013). Using SPSS 22.0 version,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Results showed that 18.9% of the sample reported unmet healthcare needs with the most frequently cited one was financial burdens (43.2%). The reported experiences of unmet healthcare needs differed by gender, marital status, vision or hearing impairment, memory problem, impaired mobility, subjective health status, total family income, depressive episode and the difficulty in making decisions. The sample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report unmet healthcare if they had vision impairment, low income and perception that their health status as moderate to poor. Those without vision impairment were less likely to report unmet healthcare needs. Conclusion: The identified risk factors of unmet healthcare needs should be addressed which would enhance access both to health care and to resolution of unmet healthcare needs. Since visual ability seems to impact perception of unmet healthcare needs, it may be useful to find ways to address this factor.]

목차[Table of content]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89 9 보건의료 요양병원 수가제도에 대한 소고 - 환자군 조정 판결을 중심으로 - / 권혜옥 2017  80
488 9 보건의료 노인의 사회적 입원으로 인한 요양병원에서의 삶의 변화 / 강군생 외 2017  241
487 9 보건의료 진단서의 증명력 : 상해진단서를 중심으로 / 이동진 2017  332
486 9 보건의료 처방의약품의 온라인 거래에 관한 미국의 규제체제와 시사점 / 김재선 2017  72
485 9 보건의료 개정 의료법상 설명의무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현두륜 2017  148
484 9 보건의료 무면허 의료행위의 사회상규 위배 여부 판단요소 / 도규엽 2017  162
483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의 의료접근권과 법적성별의 정정 / 한가람 2017  98
482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정비 / 전유라 2017  202
481 9 보건의료 진료계약의 위반에 관한 법률문제 / 정다운 2017  95
480 9 보건의료 메르스(MERS) 사태 이후 병원 공간 변화 방향 연구 :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이정열 2017  302
479 9 보건의료 중증 질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 편도현 2017  117
478 9 보건의료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서 「中國侵权责任法」상 의료손해 책임에 관한 연구 / 방성환 2017  56
477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807
» 9 보건의료 한국인 고혈압 환자의 의료접근성 및 미 충족 의료실태와 위험요인 분석 / 오희영 외 2017  120
475 9 보건의료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및 측정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장선주 외 2017  155
474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질적 분석 / 박영희, 이용재 2017  1134
473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472 9 보건의료 탈북보건의료인의 국내 보건의료인 자격취득 지원방안 / 민하주 외 2017  120
471 9 보건의료 What Makes Health Care Special? An Argument for Health Care Insurance / Horne, L. Chad 2017  34
470 9 보건의료 여성에 대한 제도적, 구조적 폭력인 산과(産科) 의료폭력(obstetric violence)개념의 부상 / 윤지영 2017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