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89722 
건강한 사람 대상 임상시험의 윤리적 위험성 최소화 방안 연구 

= A study for the way to minimize the ethical risks in healthy volunteer clinical trials

  • 저자[authors] 방성윤
  • 발행사항 포천 :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 26 cm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기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건강한 자원자 대상 임상시험,취약한 대상자,윤리적 위험성,임상시험 관리규정,위험 관리,위험과 이득 및 보상 평가,관리환경
  • 소장기관[Holding] 차의과학대학교 도서관 (241065)
  • UCI식별코드 I804:41065-200000083207

초록[abstracts] 
Over the past decade or so, the continuous growth in domestic pharmaceutical-bio industry and the appreciable interest and active support from Korean government have made the outstanding improvement and development in clinical research environment in South Korea. In addition to that, through the focused improvement in clinical research area, Korea was ranked 12th in the world in terms of the number of total multinational clinical trials in 2015. Given the size of the country and the length of clinical trial history in Korea, it is a remarkable growth. Such development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cale of the early phase clinical trials. It is very positive result in terms of the global level of growth of the domestic pharmaceutical and clinical research industry and research quality. On the other side, with the increase of clinical trials, there has been an increase of the treatment benefit for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ose trials. However, at the same time, as a clinical trial is the test for a drug or treatment which are not proved yet for the safety in human and efficacy for a certain target disease, we need to be very careful to plan and operate those trials with human subjects to minimize the risk in ethical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early clinical trials with healthy volunteers versus the relevant ethical issues and evaluated current regulations and guidelines for clinical trial in terms of risk management in regulatory frameworks for a better management of risks, whether those are sufficient to manage properly the potential ethical issues that could be occurred during trials. And it was tried to define the potential risks to be increased b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ssumptions and the actual applications of the regulations by surveying such like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clinical trial participating in and the subject's behaviors related to trial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e potential relative risk was calculated with the level of uncertainty of regulations and guidelin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m and the probability value as a weight for the likelihood of occurrence of potential risk was produced from the result of participant survey and consequently, final expected risk was evaluated with the probability value and the level of uncertainty. As a result of this study, as assumed initially, it was confirmed that current regulations and guidelines are not enough clear and detail to manage the clinical trials ethically and protect the healthy volunteer subjects. 13 of 14 areas have the parts to be complemented to minimize the potential risks and these are the major 5 parts with relatively higher risk score than average ; ①the management part for the evaluation of the potential risk or harm and benefit or compensation for the subjects, ② the part related to subject safety follow-up and care responsibility after trial closing, ③ the site management and guidance part during screening and participating in a trial especially for the scope of screening test, the definition of 'healthy' status, ongoing safety management and care for adverse event cases, ④ the evaluation part of the validity of 'risk-benefit analysis' for the planned trial during initial review and approval stage, ⑤ the management part for the vulnerable subjects.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we should continuously put an effort on the regulation areas to make the clinical trial environment be more ethically justified and safe with minimizing the potential ethical risk. Like so far, in the future, many efforts to develop new drugs and new therapeutic methods utilizing various cutting-edge technologies will be actively pursued so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we should continue to supplement and develop the management environment so that the rights of subject as a human being are not infringed or that the serious problem of individual safety is not caused until having the method to replace a human as a trial subject. Although this study didn't provide the ultimate methods as a final solution, through more relevant studies to supplement those insufficient parts in the regulations in the future, we can expect better management of risks by the improvement of regulatory frameworks and thus ethically and medically safer environment for human trial subjects could be guaranteed. Key Words  : Healthy volunteers trial, vulnerable subjects, ethical risk, regulation for clinical trial, regulatory framework, risk-benefit analysis, risk management, the right of subject, insufficiency.

초록[abstracts] 
지난 10 여 년간, 국내 제약바이오, 세계적으로 임상시험 산업의 지속적 성장 및 정부의 관심과 지원 속을 통해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 환경의 괄목 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 왔다. 그와 더불어 임상시험 분야의 집중 개선을 통해, 세계적으로 한국이 다국가 임상시험 계획서 수에 대한 점유율 순위에서 2015년에 12위에 오르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크기 및 임상시험 분야의 역사를 감안할 때 상당히 괄목할만한 성장이다. 그러한 성장에 힘입어, 과거에 비해 초기 단계의 임상시험도 상당히 증가해왔다. 국내 제약 임상시험 산업의 세계적 성장 및 연구 수준의 발전 등의 측면에서 보면 상당히 긍정적인 결과이다. 다른 측면으로는, 임상시험이 늘어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이 임상시험 대상자로서 참여하게 되고, 또한 참여함으로써 치료적 혜택을 얻는 경우도 늘게 되어 보건학적으로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임상시험은 사람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유효성이 정확히 입증이 안 된 의약품 등을 시험하는 것인 만큼 윤리적인 측면에 있어 보다 신중하고 위험이 최소화 되도록 계획 운영되어야만 하는 관계로, 더욱 많은 주의와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히나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논쟁거리들을 가지고 있는 건강한 자원자 대상 초기 임상시험을 주 대상으로 하여, 윤리적 측면에 있어 존재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에 대해 적절히 관리될 수 있도록 현재의 임상시험 관리 규정 및 지침 등이 충분한가를 평가하고, 또한 실제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참여 동기, 임상시험과 관련한 이해, 그리고 참여 행태와 관련한 사항 등을 조사함으로써 규정에서 가정하고 있는 바와 실제 적용과의 차이를 확인하여, 그로부터 증가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여 위험관리가 필요한 부분을 정의하고자 했다.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부문을 정의하고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 도출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규정 분석을 통해 상대적 위험도를, 대상자 설문을 통해 위험 가중도를 평가하여 최종 위험도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계획했다. 규정 분석 및 대상자 설문 분석 결과, 실제 본 연구 상에 가정한 데로, 규정이 현재 건강한 자원자 대상 임상시험을 계획 진행하는 데 있어 논란이 될 수 있는 윤리적인 문제에 대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마련되어 있지는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로 보완이 필요한 부분으로 확인된 부분은 현재 해당 부분에 대해 적절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는 위험성의 상대적 크기가 큰 순으로 보면, 임상시험으로 인한 참여자에 대한 잠재적 위험과 보상에 대한 평가 및 관리 부문이 가장 보완이 많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한 자원자 대상 임상시험 참여자의 연구 종료 후 관리 부분, 그리고 참여 전반에 있어 대상자 보호(스크리닝 상의 건강한 상태 평가, 이후 진행상 대상자의 안전성 관리 부문 등)관련한 부문, 그리고 임상시험 계획 검토 상의 잠재적 위험 및 이익 평가 부문, 취약한 대상자 보호와 관련한 규정 등으로, 전체 총 평가된 14가지 영역의 위험도 평균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 외에도 14가 영역 중 13가지 영역에서 일부 보완을 필요로 하는 부분들이 모두 확인되어, 전체적으로 윤리적인 임상시험 환경을 보다 성숙도 있게 관리하기 위해 윤리적 측면의 위험성을 최소화 하도록 규정 및 관련 지침 들을 지속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전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다양한 최첨단 기술들이 활용된 신약 및 신치료기술 개발 노력은 활발히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직접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되기 전까지는 참여하는 대상의 인간으로서의 권리가 침해되거나 개개인의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가 초래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환경을 개선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란 점을 본 연구를 통해 다시금 시사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궁극적 해결책인 방법들을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규정상의 불충분점을 현재 보다는 더 명확하고 적절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후속 연구들이 국내에서도 지속됨으로써 보다 안전한 환경을 보장하고 관 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9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의 개발동향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이지예 2016  137
» 9 보건의료 건강한 사람 대상 임상시험의 윤리적 위험성 최소화 방안 연구 / 방성윤 2018  137
427 9 보건의료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이 의약품 약가에 미치는 영향 / 구하영 2019  137
426 9 보건의료 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 법제의 구축에 관한 고찰 / 이서형 2018  137
425 9 보건의료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이종인, 이승신 2012  136
424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의 허가과정 / 유무영 2006  136
423 9 보건의료 중국의 의료비 상승요인 분석 2017  136
422 9 보건의료 Personal Care in Learning Health Care Systems 2015  135
421 9 보건의료 한국적 상황에서 공공의료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 대안 / 서경화 2019  135
420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의 국제의료서비스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홍혜정 2019  135
419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의 장애인 특수교육을 위한 제언 / 김송석 2019  135
418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자 관리사업 세부 영역별 성과 평가방안 연구/ 윤영호 외 2014  134
417 9 보건의료 프랑스법상 의사책임분야(醫事責任分野)에서의 인과관계와 소멸시효론에 관한 소고/박수곤 2014  133
416 9 보건의료 혈액제제의 투여로 인한 HIV 감염에 있어 인과관계의 증명책임 / 최민수 2012  133
415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데이터 시각화 연구 -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은지 외 2016  133
414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영국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의 과제와 전망 / 닐런트 2017  133
413 9 보건의료 지하철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개정의 규제효과 분석 / 이민욱 2014  132
412 9 보건의료 위험분담제도의 국내보험제도 안착을 위한 선결 조건에 대한 고찰 / 이상은 2016  131
411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410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박길하 2017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