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의료경영학과 의료경영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67071 
중증 질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 Alternat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ze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improv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high-severity diseases<br>

  • 저자[authors] 편도현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vi, 52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Note]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br>지도교수: 오현종<br>참고문헌: p. 46-50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의료경영학과 의료경영전공 2017. 8
  • DDC[DDC] 658-E 2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중증 질환,맞춤형 건강 관리,PHR,스마트헬스 케어
  • 소장기관[Holding]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06)

초록[abstracts] 
본 연구에서는 중증 질환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하여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이 중증 질환의 질병 재발 방지 및 의료비 경감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고, 잠재적으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문제점에 대해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직접 병원에 찾아오기 힘든, 즉 스마트 헬스케어의 필요성이 큰 환자(암, 중증 질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러한 환자들에 화상진료를 시행하기보다는 지방 거점병원의 시설 및 의료진을 이용하며 이러한 의료정보를 교환, 협진을 통해 환자의 편익을 최대로 고려한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을 제시하며, 현행의료법을 저촉하지 않고 성공적인 서비스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해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증 질환 병후관리(after-care) 서비스에서는 스마트 기술 기반의 헬스케어 플랫폼을 통해 암 생존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 및 부작용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의료진들에게 공유가 되어 재발, 전이, 2차 암을 예방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술적인 차원에서는 하나의 생체신호가 아닌 다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생체 신호를 받아 분석, 추출해야 할 뿐 만 아니라 긴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실시간 분석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현재 기술적 처리 프로세스를 빅데이터 플랫폼에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법적 차원에서는 원격의료에 따르는 의 하자로 인한 의료사고 발생시, 제조물 책임법에 의해 다루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의료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법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의료기관간 데이터 공유 시스템 확립을 통한 의료서비스의 단절을 해소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상호운용성에 대한 표준화 역시 시급한 과제 중 하나이다. 기술의 진보는 상당히 앞서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적, 제도적 장치로 인한 서비스의 제한이 예측되어 정책의 재정립이 요구된다.

초록[abstra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personalize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patients suffering from high-severity diseases with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as the primary focus. In specific,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in terms of preventing the diseases from recurring and reducing healthcare spending was verified, and potential risks of the system were explored.   The system was designed primarily for those with high-severity diseases who have poor access to healthcare facilities and in great need of smart healthcare. Rather than providing video consultation to these patients, an optimal smart healthcare model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at facilitates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and group practice for the best interest of patients.   In high-severity after-care service, cancer survivors can perform self care using the smart technology-based healthcare platform. Data obtained from this process is then shar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to prevent recurrence, metastasis, and secondary cancer.   Because real time analysis of bio-signals in emergency situations is imperative, applying current technological processes to big data platforms has various constraints. Furthermore, healthcare laws need to be revised or modified in case of medical malpractice or accidents where telemedicine equipment or telecommunication failure is involved. In addition, standardization through inter-organizational data sharing system for data interoperability must take place in order to relieve the severance of health servi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69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제56조의 태도 / 정문성 2016  197
568 9 보건의료 연극치료의 여성주의적 접근 - 성폭력 피해여성의 외상과 관련하여 - / 김숙현 2018  197
567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소비자광고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혜경 2011  196
566 9 보건의료 인터넷신문 치과 의료광고의 의료법 위반 실태에 관한 연구 / 이상헌 2012  195
565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의 일차의료 치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2017  195
564 9 보건의료 아동 임종간호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 박소연 2018  195
563 9 보건의료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주 외 2018  195
562 9 보건의료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가족탄력성과의 관계 / 조미영 2019  195
561 9 보건의료 2014년 주요 의료판결 분석/정혜승 외 2015  194
560 9 보건의료 의료행위와 기본권: 헌법 해석적 접근/장철준 2014  192
559 9 보건의료 독일법상 의약품의“허가사항외 사용 (Off-Label-Use)” / 김기영 2010  192
558 9 보건의료 화학제품 안전관리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 김은정 2016  192
557 9 보건의료 중국 원격의료 도입과 정책 시사점 / 이찬우 2017  192
556 9 보건의료 간호사의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 / 이영숙 2008  191
555 9 보건의료 경제성을 고려한 CEP 기반의 의료기관 데이터 실시간 분석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김미진 2016  191
554 9 보건의료 복합만성질환자의 의료이용 과정 및 복합만성질환의 의미 탐색 : 근거 이론적 접근 / 유수영 2016  191
553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요양병원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용재 2017  191
552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이규호 외 2017  186
55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법제 개선방안 / 박대웅 외 2016  185
550 9 보건의료 포괄수가제 당연적용에 따른 의료서비스 감소에 관한 연구 : 비급여대상 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 윤희주 2016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