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241528 
개정 의료법상 설명의무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저자[authors] 현두륜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의료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1[2017]
  • 발행처[publisher] 대한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3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의사의 설명의무, 설명, 동의, 환자의 자기결정권, 의료법, 손해배상, 진료계약, 대리수술, Informed consent, Explanation, Consent, Self-determination of patients, Medical Law, Compensation for damages, Medical contract, Ghost surgery

초록[abstracts]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대법원이 처음 설명의무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인정하였고, 그 후 판례를 통해서 설명의무의 구체적 내용이 형성․발전되어 오고 있다. 의사의 설명의무는 헌법 제10조와 진료계약상의 의무에 근거하고 있고, 보건의료기본법 제12조 및 개별 법률에서도 설명의무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2016. 12. 20. 개정된 의료법 제24조의2에 설명의무에 관한 규정이 신설되었고, 개정 의료법은 2017. 6. 21.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개정 의료법에 따르면,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는 의료행위는 ‘사람의 생명 또는 신체에 중대한 위해를 발생하게 할 우려가 있는 수술, 수혈, 전신마취’이다. 이러한 의료행위를 할 때에는 반드시 사전에 법정사항이 기재된 서면으로 설명을 하고 동의를 받아야 한다. 만약, 이를 위반하면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게 된다. 개정 의료법의 내용과 학설 및 판례를 통해서 인정되어 온 설명의무에 관한 기존 법리를 비교․검토해 보면, 양자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개정 의료법의 시행 이후에도, 기존 설명의무에 관한 법리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일한 사안에서 설명의무 위반 여부에 관한 판단이 민사상 손해배상사건과 의료법 위반으로 인한 과태료처분사건에서 서로 달라지는 것은 법적 안정성이나 법질서 전체 통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개정 의료법상의 설명의무에 관한 내용을 기존 법리에 맞게 수정하거나 독일의 경우와 같이 진료계약의 내용에 포함시켜 민법에서 규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The Supreme Court of Korea first admitted compensation for damages caused by breach of informed consent in 1979. From then on, specific details of informed consent are shaping up and developing through court precedents. The duty of informed consent of doctor is based o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and medical contract, and is expressly prescribed Article 12 of Framework Act on Health and Medical Services and other acts and regulations. By the way, the regulations about duty of informed consent of doctor have been established in Medical Law revised on December 20, 2016, and the revised Medical Law will be implemented on June 21, 2017. According to the revised Medical Law, medical practices subject to description and consent are operation, blood transfusion and general anesthesia that threaten to cause serious harm to human life or to the body. When performing these medical activities, the written consent must be explained and agreed upon in advance. If a doctor violates the law, he will incur fines of less than 3 million won. Comparing and viewing the revised Medical Law and existing legal principles about the duty of informed consent, we can confirm that there is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parties. Accordingly,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medical law, the existing legal principles are unlikely to be affected.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uniformity and stability, it is undesirable that legal judgments on the same issues differ from each other. The revised Medical Law about informed consent needs to be reformed according to existing legal principles. And, as in the case of Germany, it is desirable to include the matters concerning informed consent in the civil code.]

목차[Table of content] 
I. 시작하며   II. 설명의무에 관한 의료법 개정 과정    1. 의료법 개정의 배경    2. 의료법 개정 과정    3. 의료법 개정 과정의 문제점   III. 설명의무에 관한 기존 법리와 개정 의료법의 내용 비교    1. 설명의 주체와 상대방    2. 설명의 대상    3. 설명의 시기 및 방법    4. 설명 사항(설명의 범위)    5. 설명의무의 면제   IV. 개정 의료법에 대한 평가와 전망    1. 개정 의료법에 대한 평가    2. 개정 의료법 시행 이후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69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제56조의 태도 / 정문성 2016  197
568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의 일차의료 치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2017  197
567 9 보건의료 연극치료의 여성주의적 접근 - 성폭력 피해여성의 외상과 관련하여 - / 김숙현 2018  197
566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소비자광고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혜경 2011  196
565 9 보건의료 인터넷신문 치과 의료광고의 의료법 위반 실태에 관한 연구 / 이상헌 2012  195
564 9 보건의료 아동 임종간호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 박소연 2018  195
563 9 보건의료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주 외 2018  195
562 9 보건의료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가족탄력성과의 관계 / 조미영 2019  195
561 9 보건의료 2014년 주요 의료판결 분석/정혜승 외 2015  194
560 9 보건의료 의료행위와 기본권: 헌법 해석적 접근/장철준 2014  192
559 9 보건의료 독일법상 의약품의“허가사항외 사용 (Off-Label-Use)” / 김기영 2010  192
558 9 보건의료 화학제품 안전관리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 김은정 2016  192
557 9 보건의료 중국 원격의료 도입과 정책 시사점 / 이찬우 2017  192
556 9 보건의료 경제성을 고려한 CEP 기반의 의료기관 데이터 실시간 분석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김미진 2016  192
555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요양병원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용재 2017  192
554 9 보건의료 간호사의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 / 이영숙 2008  191
553 9 보건의료 복합만성질환자의 의료이용 과정 및 복합만성질환의 의미 탐색 : 근거 이론적 접근 / 유수영 2016  191
552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이규호 외 2017  186
55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법제 개선방안 / 박대웅 외 2016  185
550 9 보건의료 포괄수가제 당연적용에 따른 의료서비스 감소에 관한 연구 : 비급여대상 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 윤희주 2016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