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48053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Burnout of Nurses Performing End of Life Care in Convalescent Hospitals

  • 저자[authors] 김원순

  • 발행사항 부산 :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105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조헌하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7.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소진,임종간호,좋은 죽음인식,회복탄력성,간호사

  • 소장기관[Holding]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221003)


초록[abstracts] 
우리나라에서 전체 인구대비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요양병원에서 사망하는 노인환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요양병원간호사는 임종간호수행업무가 증가하여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좋은 죽음인식과 회복탄력성은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소진을 감소시켜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요양병원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 임종간호수행, 회복탄력성 및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소진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예방 간호중재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Bakker와 Demerouti(2007)의 직무요구-자원모형(Job Demand–Resource Model: JD-R Model)과 문헌 고찰을 근거로 하여 요양병원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 임종간호수행, 회복탄력성, 임종간호스트레스, 소진을 변인으로 설정하여 이들 변인들 간의 구조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변수 중 외생변수는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수행으로 설정하였고 내생변수는 회복탄력성, 임종간호스트레스, 소진으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K대학 내 기관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2017년 2월1일부터 5월 15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자는 K시와 B광역시에 근무하는 요양병원 근무경력 1년 이상 간호사 269명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본 연구자가 대상병원에 직접 방문하여 간호부에 자료 수집에 대한 동의서와 연구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았고 각 병동을 직접 방문하여 수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자료 수집을 구두로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18.0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연구도구의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0.0 프로그램을 통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델의 부합도 및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조방정식모델의 부합도는 χ2=455.974(df=177, p<.001), CMIN/df=2.576, AGFI=.820, GFI=.862, CFI=.927, TLI=.914, SRMR=.060, RMSEA=.077(Lo 90=.068, Hi 90=.085)로 나타났다. 2. 구조방정식모델에서 총 9개의 가설 중에 7개의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모델검증 결과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임종 간호수행, 회복 탄력성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회복탄력성은 소진에 가장 큰 직접 효과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좋은 죽음인식과 소진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완전매개효과를, 임종간호수행과 소진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좋은 죽음인식, 임종간호수행은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소진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요인은 회복탄력성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임종간호수행 순으로 나타났다.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수행은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소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 회복탄력성을 강화하는 임종간호수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주요용어 : 소진,  임종간호, 좋은 죽음인식, 회복탄력성, 간호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509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508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 / 손인서 2017  281
507 9 보건의료 국산의약품의 해외 시장진출을 위한 인·허가제도 연구 - 인도네시아 / 손지영 외 2017  259
506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505 9 보건의료 줄기세포를 활용한 비임상시험의 미래전략 / 김기석 2017  66
504 9 보건의료 바이오뱅크 내 동의서 없는 폐기용 인체유래물 자원의 재활용을 위한 정당성 모색 / 정창록 외 2017  83
503 9 보건의료 지역사회 노인의 정신건강 기초조사를 위한 예비연구 / 주현빈 외 2017  100
502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501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위한 병원시스템 모델 / 안윤애 외 2017  109
500 9 보건의료 간호 인력 확보수준 구성이 병원 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의 병원 특성별 비교 / 윤경일 2017  42
499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이규호 외 2017  186
49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법제의 쟁점과 개선방향 - 시민참여형 모델구축의 탐색을 중심으로 - / 박대웅 외 2017  99
497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상 환자안전사고의 범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95
496 9 보건의료 진료비와 책임제한 / 배병일 2017  55
495 9 보건의료 공공보건 역량강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론 / 김재용 2017  72
494 9 보건의료 2017년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2017  707
493 9 보건의료 로봇수술을 담당하는 간호사의 직무 인식 / 김혜원 2017  583
492 9 보건의료 개인의 유전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 김종주 2017  117
491 9 보건의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고진곤 2017  400
»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