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825757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 저자[authors] 이재리,이정권,황선진,김지은,정지인,김시영,Lee, Jae-Ri,Lee, Jung-Kwon,Hwang, Sun-Jin,Kim, Ji-Eun,Chung, Ji-In,Kim, Si-Yo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5No.1[2012]

  • 발행처[publisher]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1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2

  • 주제어[descriptor] 완화의료,호스피스,의사,인식도,의뢰와 자문,Palliative care,Hospice care,Physicians,Perception,Referral and consultation


초록[abstracts] 
[목적: 완화의료를 위해서는 완화의료 대상자에 대한 판단을 하고 완화의료를 직접 시행하거나 완화의료에 자문/의뢰하는 의료인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암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의사들의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2010년 5월부터 6월까지 암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전문의 477명을 대상으로 무기명 자기 기입식 웹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 총 128명(26.8%)이 응답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모든 의사들은 말기암환자에게 완화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80% 이상의 응답자들이 '3차 의료기관 및 암센터는 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진행 암환자는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중이더라도 완화의료를 받아야 한다.', '말기암환자의 치료에는 여러 과의 협력이 필요하다.'에 동의하였다. 완화의료 수행능력에 대해서는 58% 이상이 자신이 하고 있는 신체 증상 조절 및 정신증상 조절, 말기암환자 가족의 정서적 지지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나 전반적인 말기암환자 및 임종 환자 관리 서비스는 64%에서 '만족스럽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 중 34명(26.6%)은 '자신의 말기암환자를 완화의료팀으로 자문'하거나 '의뢰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완화의료 의뢰의 장애 요인으로 '환자나 보호자의 거부'가 61명(47.7%)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믿고 의뢰할 수 있는 완화의료팀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의사가 59명(46.1%)으로 많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암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의사들은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 시행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말기암환자 진료에 있어 다학제 간 협력이나 임종관리까지 충분한 완화의료의 제공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이고 수준 높은 말기암환자의 관리를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완화 의료 자문이나 의뢰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09 9 보건의료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7  105
308 9 보건의료 일차의료를 방문한 환자에서 수면질이 제 2형 당뇨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정아 2014  105
307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306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105
305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 정성훈 2014  104
»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 이재리 외 2012  104
303 9 보건의료 중국의 의료기기 유통에 관한 정책 및 법제 고찰 / 김정진 2017  104
302 9 보건의료 의약품 복용 과정과 정보 검색 경험 분석 / 김현주 외 2018  104
301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관리 방안 / 조비룡 2018  104
300 9 보건의료 구글이 선택한 바이오 기업들 / 민세주 2018  104
299 9 보건의료 웰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의료 질 관리 / 조영복 외 2014  104
298 9 보건의료 환자와 의사간 원격의료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노인복지법을 중심으로 / 최현숙, 박규용 2015  103
297 9 보건의료 약사법상 담합행위에 관한 고찰 / 장연화, 백경희 2013  103
296 9 보건의료 건강보험급여 기반의 작업치료 진료행위 현황에 관한 연구: 2011~2015년 / 조승현, 양영애 2016  103
295 9 보건의료 헬스케어 산업발전을 위한 의료빅데이터 활성화 정책 / 정명진, 이민화 2017  103
294 9 보건의료 요양병원 입원 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 장아영 외 2018  103
293 9 보건의료 의료관광서비스제공자의 문화적 역량과 문화 간 의사소통 역량, 신뢰 간 관계 /이려정 외 2018  103
292 9 보건의료 데이터기반의학에서 의료수준의 정립과 법적 책임 / 김기영 2017  103
291 9 보건의료 한국과 미국의 동등생물의약품 규제에 대한 연구 / 전승원 2015  102
290 9 보건의료 중국 의료보험법제에 관한 소고 / 송희숙 2017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