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大韓移植學會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026403 
한국에서의 뇌사자 신장이식의 대기시간 분석; 단일기관연구 

= Original Articles : Waiting Time for Deceased Donor Kidney Allocation in Korea; A Single Center Experience

  • 저자 [authors] 이수형 ( Su Hyung Lee ),허규하 ( Kyu Ha Huh ),이형순 ( Hyung Soon Lee ),김현정 ( Hyun Jung Kim ),김명수 ( Myoung Soo Kim ),주동진 ( Dong Jin Joo ),김순일 ( Soon Il Kim ),김유선 ( Yu Seun Kim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大韓移植學會誌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1[2012]

  • 발행처[publisher] 대한이식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2-3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2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14.2605

  • 주제어[descriptor] 대기시간,신장 배분,뇌사장기기증자,Waiting time,Kidney allocation,Deceased donor


초록[abstracts] 
[Background: The kidney recovery rate associated with deceased donors has increas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 And the KONOS organ allocation system gives priority to candidates affiliated with a Hospital based Organ Procurement Organization (HOPO) and/or donor recovery hospital.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is organ allocation system is fair, it can make an important impact on the waiting time for an organ transplant. Methods: A total of 157 deceas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s were performed at Severance Hospital between January 2006 and April 2011. The recipients of these transplantations were retrospectively 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ir allocation types; general allocation group (GA, n=54), HOPO priority group (HP, n=65), zero antigen mismatching group (ZM, n=23), marginal donor allocation group (MD, n=7), and the combined organ transplant allocation group (CT, n=8). The five groups were assessed in terms of their waiting time for organ allocation, cold ischemia time, and post-transplant graft outcome. Results: Mean waiting time for organ allocation of the HP group (69.5±27.4 months)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for the GA group (90.0±34.0 months)( P<0.05). However, the degree of HLA mismatching was not different between each group. The cold ischemia time for the HP group (301.5±133.9 min)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all other groups, except for the ZM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erms of acute rejection episodes, delayed graft function events or graft survival rates. Conclusions: Our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kidney allocation pattern showed that there were disparities in distribution by priority of allocation. We should make a consensus within the Korean transplant society in order to further develop the allocation system to decease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tim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69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768 9 보건의료 혈액제제의 투여로 인한 HIV 감염에 있어 인과관계의 증명책임 / 최민수 2012  133
767 9 보건의료 의료법 시행규칙상 원외탕전실 규정에 대한 법적고찰 / 김정선 2012  313
766 9 보건의료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이종인, 이승신 2012  137
765 9 보건의료 한국형 체외진단제품 품목 및 등급분류 체계 제안 / 임영애 2012  199
764 9 보건의료 미국 「생물의약품 가격경쟁 및 혁신법」 상 '배타권'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2  172
763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필요한 통계방법들에 대한 고찰 / 강승호 2012  199
762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6
761 9 보건의료 간호학생의 인체해부관찰경험 / 김미희 2012  222
760 9 보건의료 인터넷신문 치과 의료광고의 의료법 위반 실태에 관한 연구 / 이상헌 2012  195
759 9 보건의료 의료전문가와 소비자의 전문병원광고에 대한 태도와 병원브랜드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 우예순 2012  100
758 9 보건의료 인터넷 의료광고가 병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성일 2012  81
757 9 보건의료 공공분야에서의 빅데이터(Big Data) 활용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황대욱 2012  72
756 9 보건의료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바이오의약품 적용여부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2  145
755 9 보건의료 의약품 특허의 강제실시청구에 관한 심사기준 고찰 -인간기능이론을 중심으로 / 민창식 2012  50
754 9 보건의료 일차의료 강화를 통한 효과적 만성질환 관리 방안 / 신호성 2012  61
753 9 보건의료 국제보건규칙(2005)상의 전염병 통제 보건조치와 인권의 보호 / 박진아 2012  590
752 9 보건의료 노인 대상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 및 부작용에 대한 피험자의 인지도 조사 / 임지연 외 2012  67
» 9 보건의료 한국에서의 뇌사자 신장이식의 대기시간 분석; 단일기관연구 / 이수형 외 2012  210
750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 이재리 외 2012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