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893165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A Legal Study on Utilization of Big Data in Medical Field - Focusing on Korea and China -

  • 저자[authors] 이규호 ( Lee Gyooho ), 서새남 ( Xu Saina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1No.2[2017]

  • 발행처[publisher]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55-18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의료정보, 빅데이터, 보호 및 활용, 비식별 조치, 저작권, Medical Information, Big Data, Protection and Utilization, De-identification Measures, Copyright


초록[abstracts]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인 빅데이터는 여러 분야에서 활용 되고 있다. 특히 의료정보 빅데이터의 활용은 신약을 개발하거나 마케팅 전략을 수립 등 경제적인 私益뿐만 아니라, 의료비 절감, 의료서비스 수준 형상 및 질병 예방 등 사회적인 公益까지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의료정보 빅데이터 활용에 따라 私益이나 公益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법상의 문제 및 저작권법상의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국 개인정보보호법은 옵트인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야 하거나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 의료정보를 수집·이용 및 제공할 수 있어 의료정보 빅데이터 활용의 제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의료정보에 대한 보호 및 활용의 균형을 도모하기 위하여 치료목적이나 公益적인 목적에 의해 의료정보를 활용하는 경우에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처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나아가 개인정보침해위험을 최소화하고 의료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수집된 의료정보에 대하여 비식별 조치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비식별 가이드라인은 법적 근거가 미약한 이유로 일반국민에 대한 대외적 구속력이 부정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을 개정하거나 현행 비식별 가이드라인이 행정규칙으로 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한편, 중국 정부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個人醫療信息을 활용하고자 하는 각종 정책적 문서를 발표하였지만 아직 관련 법률이 부존재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個人醫療信息을 별도의 규정을 두는 個人信息보호 기본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더불어 個人醫療信息을 보호하는 동시에 個人醫療信息의 활용하기 위하여 비식별 조치와 관련 규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가 크면 클수록 융합분석 결과정보에 대한 확률적 신뢰성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의료정보 빅데이터 산업을 활성하기 위하여 국가측면의 의료정보 공유 플랫폼의 구축 등 방안도 도모할 필요가 있고, 관련 법제를 정비하기 위한 논의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Big Data technology, a key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the use of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has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as it not only shows economic benefi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and marketing strategy, but also show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social, public benefits such as medical cost reduction, medical service level and disease preventio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can obtain personal benefits or public interest by utilizing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and also cause problems relating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Copyright Act.  The Korea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dopted the opt-in method and can collect, use and provide medical information in case where the consent of the information owner is required or there are special regulations in the law, which may be a factor limiting the use of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In order to strike balance between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medical information, we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to handle medical information without the consent of its owner when using medical information for therapeutic purposes or for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  Furthermore, de-identification measures can be implemented on collected medical information to minimize the risk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o utilize medical information. However, the current de-identification measures are likely to deny the external binding power to the general public because of their weak legal basi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r to define the current non-identification guidelines as administrative rules.  Meanwhile, the Chinese government has issued various policy document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nd utiliz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but the related laws have not yet existed in China. As a result, China believes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Framework Act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e-identification measures and related regulations in order to protect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nd utiliz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The larger the data, the greater the probabilistic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resulting from the fusion analysis.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big data industry related to medic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plan the establishment of a platform sharing national medical information. The discussion on this issue needs to be continu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569 9 보건의료 의료관광 서비스접점별 품질평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 관계 연구 / 김혜영 2018  198
568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제56조의 태도 / 정문성 2016  197
567 9 보건의료 연극치료의 여성주의적 접근 - 성폭력 피해여성의 외상과 관련하여 - / 김숙현 2018  197
566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소비자광고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혜경 2011  196
565 9 보건의료 인터넷신문 치과 의료광고의 의료법 위반 실태에 관한 연구 / 이상헌 2012  195
564 9 보건의료 아동 임종간호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 박소연 2018  195
563 9 보건의료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주 외 2018  195
562 9 보건의료 암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과 가족탄력성과의 관계 / 조미영 2019  195
561 9 보건의료 2014년 주요 의료판결 분석/정혜승 외 2015  194
560 9 보건의료 의료행위와 기본권: 헌법 해석적 접근/장철준 2014  192
559 9 보건의료 독일법상 의약품의“허가사항외 사용 (Off-Label-Use)” / 김기영 2010  192
558 9 보건의료 화학제품 안전관리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 김은정 2016  192
557 9 보건의료 중국 원격의료 도입과 정책 시사점 / 이찬우 2017  192
556 9 보건의료 경제성을 고려한 CEP 기반의 의료기관 데이터 실시간 분석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김미진 2016  192
555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요양병원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용재 2017  192
554 9 보건의료 간호사의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 / 이영숙 2008  191
553 9 보건의료 복합만성질환자의 의료이용 과정 및 복합만성질환의 의미 탐색 : 근거 이론적 접근 / 유수영 2016  191
»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이규호 외 2017  186
55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법제 개선방안 / 박대웅 외 2016  185
550 9 보건의료 질병의 사회적 구성과 의학 지식의 변화 요인에 대한 연구 / 백영경 2018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