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노인정신의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40014 

지역사회 노인의 정신건강 기초조사를 위한 예비연구


= Mental Health Evaluation for Elderly in Community, Pilot Study


  • 저자[authors] : 주현빈(Hyun Bin Ju),정도운(Do-Un Jung),김성진(Sung Jin Kim),김현정(Hyun Jung Kim),박재홍(Jae Hong Park),서영수(Young Soo Seo),문정준(Jung Joon Moon),전동욱(Dong Wook Jeon),김유나(You Na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노인정신의학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21No.2[2017]
  • 발행처[publisher] : 대한노인정신의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59-66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510
  • 주제어[descriptor] : Aged,Mental health,Memory,Quality of life,Sleep,Suicide.


초록[abstracts]

[Objective:With the burgeoning elderly population, mental health among the elderly has surfaced as an important medical, social, and economic issue. This study was a pilot study testing the assessment module that was developed to survey mental health among the elderly living in the city of Busan. Methods:Basic demographic data and mental health problem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12 (GHQ-12), suicide risk screening tool, subjective memory deterioration scale, sleep disorder and sleep pattern scal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EuroQoL-5 dimension), and alcohol abuse screening tool (Cut down, Annoyed, Guilty, Eye-opener Questionnaire). Results:Four-hundred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in either of two district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of whom 219 (54.8%) were female. About 26.8% of the participants were obese, while 2.3% were underweight. One hundred and twenty-five (31.3%) participants were in need of attention to or improvement of nutrition management, and 19.1% perceived themselves to be in poor health. In the GHQ-12, 68.8% were in psychological distress (≥2). About 49.8% of the participants had insomnia, 61.8% had subjective memory disturbance, and 6% were at risk of suicide. The GHQ-12 scor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ith sleep disturbance, and subjective memory deterio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women than in men, whil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men. Conclusion:A considerable number of older adults living in the Busan region wer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stress, were in need of nutrition management, had low quality of life, and had poor mental health, and women were particularly more vulnerab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509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508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 / 손인서 2017  281
507 9 보건의료 국산의약품의 해외 시장진출을 위한 인·허가제도 연구 - 인도네시아 / 손지영 외 2017  259
506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505 9 보건의료 줄기세포를 활용한 비임상시험의 미래전략 / 김기석 2017  66
504 9 보건의료 바이오뱅크 내 동의서 없는 폐기용 인체유래물 자원의 재활용을 위한 정당성 모색 / 정창록 외 2017  83
» 9 보건의료 지역사회 노인의 정신건강 기초조사를 위한 예비연구 / 주현빈 외 2017  100
502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501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위한 병원시스템 모델 / 안윤애 외 2017  109
500 9 보건의료 간호 인력 확보수준 구성이 병원 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의 병원 특성별 비교 / 윤경일 2017  42
499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이규호 외 2017  186
49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법제의 쟁점과 개선방향 - 시민참여형 모델구축의 탐색을 중심으로 - / 박대웅 외 2017  99
497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상 환자안전사고의 범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95
496 9 보건의료 진료비와 책임제한 / 배병일 2017  55
495 9 보건의료 공공보건 역량강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론 / 김재용 2017  72
494 9 보건의료 2017년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2017  707
493 9 보건의료 로봇수술을 담당하는 간호사의 직무 인식 / 김혜원 2017  583
492 9 보건의료 개인의 유전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 김종주 2017  117
491 9 보건의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고진곤 2017  400
49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