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181748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대법 2015. 1. 20. 선고 2012다41069 판결을 중심으로 -

= The Scope and Health-Care Proposal of Informed Consent


• 저자명: 정창우 ( Jeong Chang U )
• 학술지명 :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Yonsei Journal of Medical and Science Technology Law )
• 권호사항 : Vol.8 No.2 [2017]
• 발행처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07-148(42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주제어 : 설명의무 , 개연성 , 통상의 의학수준 , 보건의료 정책제안 , 양수색전증 , Informed Consent , Probability , Ordinary Medical Standard, Policy Proposal for Health-Care , Amniotic Fluid Embolism

초록

대법원 2015. 1. 20. 선고 2012다41069 판결에서는 ① 옥시토신 투여에 의한 유도분만 선택 및 시행과정상 과실유무, ② 양수색전증에 대한처치상의 과실 유무, ③ 설명의무 위반여부가 쟁점이 되었다. ①, ②에 대해 대법원은 피고병원 의료진이 상당한 범위의 재량 안에서 선택한 진료방법으로서 합리성이 있고, 원고들이 주장하는 간접사실들만으로는 개연성이 담보되지 아니하여 과실과 인과관계를 추정할 수 없다고 판단 하였다. ③에 대해서는 망인의 분만당시인 2008년의 의료수준에 비추어, 피고병원 의료진이 양수색전증의 후유증 발생을 예견할 수 없어 이에 대해서는 설명의무를 인정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본 판결의 의의는 ① 개연성이 담보되지 않은 사정만으로는 의료인에게 장래의 위험에 대한 결과예견의무를 물을 수 없고, 동시에 예견할 수 없는 그 장래의 위험은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에서도 제외된다는 새로운 법리를 전개한 것과 ② `의료수준이론`의 문제를 다루며 `통상의 의학상식`을 판단함에 있어 `세계 각국의 연구결과`를 적극 고려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508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 / 손인서 2017  281
507 9 보건의료 국산의약품의 해외 시장진출을 위한 인·허가제도 연구 - 인도네시아 / 손지영 외 2017  259
506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505 9 보건의료 줄기세포를 활용한 비임상시험의 미래전략 / 김기석 2017  66
504 9 보건의료 바이오뱅크 내 동의서 없는 폐기용 인체유래물 자원의 재활용을 위한 정당성 모색 / 정창록 외 2017  83
503 9 보건의료 지역사회 노인의 정신건강 기초조사를 위한 예비연구 / 주현빈 외 2017  100
502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501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위한 병원시스템 모델 / 안윤애 외 2017  109
500 9 보건의료 간호 인력 확보수준 구성이 병원 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의 병원 특성별 비교 / 윤경일 2017  42
499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이규호 외 2017  186
49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법제의 쟁점과 개선방향 - 시민참여형 모델구축의 탐색을 중심으로 - / 박대웅 외 2017  99
497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상 환자안전사고의 범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95
496 9 보건의료 진료비와 책임제한 / 배병일 2017  55
495 9 보건의료 공공보건 역량강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론 / 김재용 2017  72
494 9 보건의료 2017년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2017  707
493 9 보건의료 로봇수술을 담당하는 간호사의 직무 인식 / 김혜원 2017  583
492 9 보건의료 개인의 유전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 김종주 2017  117
491 9 보건의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고진곤 2017  400
49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