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료기기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57066 
국내 체외동반진단기기 허가를 위한 평가시스템 연구

• 저자:천보경
• 형태사항 : 48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윤엽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료기기산업학과 2017. 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7
• 주제어 : Companion Diagnostic, Regulatory guidance, Quality Management System, Target therapy, GMP
• 소장기관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초록

최근 환자 개개인의 특별한 유전적 특징에 맞추어 약물 치료를 설계하는 개인맞춤의료가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맞춤의료가 중요시되며, 특정 환자의 치료에 의약품을 사용하기 위해 약물의 반응성 및 안전성을 미리 예측하는 검사인 동반진단이 대두되며 체외동반진단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표적치료제의 약물 반응성을 미리 예측해 줌으로써 치료제를 써야 할 환자를 선별할 수 있는 체외동반진단기기의 개발은 신약 개발 초기 단계인 표적 바이오마커의 개발과 함께 검증된다. 이에 관해 체외동반진단기기에 대한 평가사항, 즉 허가·심사에 대한 명확한 평가기준이 필요하다. 허가·관리 시 과학적인 심사지침서 개발을 통한 과학적, 합리적 평가 체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목차

제1장 서론 6
1. 연구배경 및 목적 6
2. 연구범위 및 방법 9
제2장 연구 내용 및 방법 11
1. 국외 체외동반진단기기의 가이드라인 비교분석 11
2. 체외동반진단기기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평가기준 18
제3장 체외동반진단기기의 이론적 고찰 21
1. 체외동반진단기기의 정의 21
2. 체외동반진단기기의 현황 22
2.1. 체외동반진단기기 시장 현황 22
2.2. 체외동반진단기기 규제 현황 23
3. 의료기기 품목분류 25
제4장 국내 의료기기 GMP제도 분석 26
1. 의료기기 GMP제도의 이론적 고찰 26
1.1의료기기 GMP의 개념 26
2. 의료기기 GMP 심사 27
2.1. GMP 심사 구분 및 절차 27
2.2. GMP 심사 제출 서류 30
2.3. GMP 심사결과의 판정기준 30
3. 의료기기 GMP 시스템 31
3.1. 의료기기 GMP 시스템 수립 31
3.2. 품질경영시스템 구축 33
제5장 결론 및 제언 36
참고문헌 3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749 9 보건의료 Evaluating the Legitimacy of Contemporary Legal Strategies for Obesity 2015  63
748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747 9 보건의료 입원환자의 위급 상황 시 위치추적이 가능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나한범, 장영주 2015  63
746 9 보건의료 고령사회에 대응한 보건의료체계 개편의 시급성 / 박은철 2018  63
745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김유호 2018  63
744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정당화와 면책가능성 / 임상규 2019  63
743 9 보건의료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김명희 2014  64
742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전달기법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2014  64
741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전진아 외 2018  64
740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2018  64
739 9 보건의료 의약품 관리정책과 소비자권익 확보방안 - 주사제 관리체계의 개선 - / 문상혁 2018  64
738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2011  65
737 9 보건의료 공공기관 생성 건강정보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일개 공공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 이도화 2015  65
736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에서 상용치료원의 유무가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윤완중 2014  65
735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5
734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 동향 / 이선원 외 2011  65
733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 정순형 2019  65
732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에 대한 최근 논의 / 박대웅, 이주하 2016  66
731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가 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한수연 2009  66
730 9 보건의료 국민건강과 올바른 의료제도 확립을 위한 2016년 보건의료 주요 현안 2016  66